한국개발연구원이(KDI) 최근 대외 불확실성 확대가 자본유출 가능성을 높이고 환율 상승을 유발했다면서도 그 영향은 점차 축소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최우진 KDI 경제전망실 연구위원은 12일 '대외 불확실성이 환율 및 자본유출입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우리나라가 대외 순자산국으로 전환된 2014년을 기점으로 대외 불확실성의 영향이 이전보다 축소됐다”고 밝혔다.
최 연구위원은 대외 불확실성 지표로 미국 주식시장의 변동성 지수(VIX)를 활용해 환율 상승 폭과 자본 유출 규모를 분석했다. 이에 따르면 VIX가 100%포인트 증가할 때 환율 상승분은 2013년 이전에는 7.9%P, 자본유출은 GDP 대비 3.0%P 증가했다. 반면 2014년부터는 VIX가 100%P 증가해도 환율은 2.6%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본유출은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특히 2018년 1분기 신흥시장 조정, 2018년 4분기 미중 무역분쟁, 코로나19 위기 등 글로벌 불확실성이 확대된 상황에서도 대규모 자본유출이 발생하지 않았다.
최 연구위원은 “대외 자본 순유출을 직접투자, 주식 및 채권을 포함하는 포트폴리오 투자, 은행 부문을 포함한 기타투자로 나눠보면 외국인의 포트폴리오 투자에서 자본 유출 규모가 줄었다”며 “외국인의 국내 채권 투자가 확대된 점 등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최근 국내 금융시장 상황에 대해서는 “글로벌 위기 상황에서 과거와 같은 대규모 외국인 자본 유출이 발생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한국 자본시장의 안정성에 대한 긍정적 평가가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분기별로 코로나19 위기가 발생한 2020년 1분기 이후 현재까지 외국인 자본은 채권을 중심으로 순유입됐다”며 “최근 환율이 상승하고 있으나 대외 충격을 고려하면 과거 대비 상대적으로 환율 상승 폭이 크지 않다는 의견도 제기된다”고 언급했다.
실제로 코로나19 불확실성이 정점이었던 2020년 3월 20일 원/달러 환율은 직전 30일 대비 7.5% 상승해 글로벌 금융위기 정점인 2008년 10월 상승률(25.4%)보다 적었다.
최 연구위원은 대외 불확실성 충격이 옅어진 배경으로 비교적 낮은 인플레이션의 지속, 타 국가 대비 낮은 국가채무비율, ICT 기업의 국제 경쟁력 등을 꼽았다.
최 연구위원은 “대외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단기적으로 환율과 자본유출을 모니터링하고 갑작스러운 금융시장 볼안에 대비해야 한다”며 “중장기적으로는 인플레이션 및 재정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외환시장 접근성 개선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다현기자 da2109@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