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 공동 개발은 남북 경협 1순위 사업이다. 과거 경험도 있고, 무엇보다 시너지가 분명한 사업이다. 정부가 광물 자원 개발 관련 기관 법령에 사상 처음으로 '북한'을 명시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한국광업공단 출범을 위한 근거법을 만들면서 신설 기관 사업 영역으로 북한 자원 개발을 넣었다. 해외 자원 개발은 논란을 겪고 있지만 북한 관련 사업은 성격도 다르고 의미도 크다.
북한에 매장된 광물 자원 잠재 가치는 3000조원으로 추정된다. 728개 광산에서 현재 채굴되는 것만도 42개 광종이다. 국제사회에서 북한 제재가 논의될 때 우선 등장하는 것이 광물 자원인 이유다. 남북 정상회담 이후 광물 자원 공동 개발 계획은 구체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남북은 한반도 균형 발전 첫 성공 모델을 광물 개발에서 찾을 것이다. 남북이 협력하면 광물 자원 확보와 광물 자원 발굴 시스템 현대화, 제조업 육성, 물류 인프라 확충 등 경제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다. 광물 자원 공동 개발에 따른 수입 대체 효과가 매년 17억달러에 이를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자원 가공 시범단지 신설과 물류센터 설치, 금속가동단지 조성, 제련소 신설, 신소재 개발, 최첨단 정보통신기술(ICT) 접목 센서 인프라 산업 등은 이미 과거 경협을 준비하면서 논의한 바 있다. 천안함 폭침 사건으로 2010년 5·24 대북 제재 조치가 나오기 전까지 남북은 4건의 자원 공동 개발 사업을 진행해 왔다.
남북 경협은 경제 논리로만 접근할 수 없다. 과거 경험이 말해 준다. 국제 역학 관계와 내부 정세가 맞물리기 때문에 투자 결정을 하는 기업 입장에서는 신중할 수밖에 없다. 리스크가 참여에 따르는 메리트 이상으로 존재한다. 안정된 사업 기반이 구축돼 있는 것도 아니다. 만에 하나 특혜 의혹이라도 불거지면 역풍을 맞을 수도 있다. 경협도 기업이 움직이지 않으면 성과 도출이 불가능하다. 정부는 안전장치를 포함해 기업 참여를 유도하는 방안을 함께 모색해야 하는 어려운 과제를 안고 있다.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
1
[콘텐츠칼럼]게임 생태계의 겨우살이
-
2
[ESG칼럼] ESG경영, 변화를 멈출 수 없는 이유
-
3
[ET단상] 자동차산업의 SDV 전환과 경쟁력을 위한 지향점
-
4
[ET톡] '공공기관 2차 지방이전' 희망고문
-
5
[ET시론]정보화 우량 국가가 디지털 지체 국가, AI 장애 국가가 되고 있다
-
6
[人사이트]박세훈 근로복지공단 재활공학연구소장 “국산 고성능 의족, 국내외 보급 확대”
-
7
[디지털문서 인사이트] AX의 시대와 새로운 디지털문서&플랫폼 시대의 융합
-
8
[김태형의 혁신의기술] 〈21〉혁신의 기술 시대를 여는 서막(상)
-
9
[전화성의 기술창업 Targeting] 〈333〉 [AC협회장 주간록43] 2025년 벤처 투자 시장과 스타트업 생태계 전망
-
10
[김종면의 K브랜드 집중탐구] 〈29〉프로스펙스, 우리의 레이스는 끝나지 않았다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