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견기업 ESG 평가 반영률 1년 새 2배↑…협력사 지원은 여전히 미흡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ESG 평가 상벌 방식 추이

대·중견기업 상장사들이 공급망 ESG(환경·사회·지배구조)를 계약 및 거래에 적극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년 동안 ESG 평가결과를 계약 및 거래에 반영하는 비율이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그러나 협력사 ESG 수준을 실질적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5일 중소기업중앙회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대·중견기업 공급망 관리 실태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0월 22일까지 KRX ESG포털에 2023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자율공시한 대·중견기업 199개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먼저 자율공시 기업 97%가 공급망 ESG 관리 활동을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89.2%) 대비 7.8%포인트(P) 증가한 수준이다. ESG 평가결과를 계약·거래에 활용하는 기업 비율은 전년 22.3%에서 42.2%로 19.9%포인트(P)를 기록해 두 배 가까이 늘었다.


ESG 관련 정책(녹색구매, 분쟁광물 관리, 공정거래 준수 등)을 구매 시스템에 반영하는 기업의 비율도 52.0%에서 78.9%로 확대됐다.

Photo Image
자료=중소기업중앙회

업종별로는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73%) ESG 평가 반영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어 전자부품(67%), 정유(68%) 업종도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글로벌 공급망 규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주요 시장인 미국과 유럽 ESG 규제 강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한 것으로 분석됐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 공급망 ESG 반영 비율이 45%로 가장 높았으며, 중견기업(36%)과 공기업(34%)은 그 뒤를 이었다. 특히, 대기업은 협력사 ESG 평가를 인센티브 및 페널티에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공급망 탄소배출량 관리 등 ESG 세부지표 충족 비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협력사 ESG 내재화를 위한 실질적인 지원은 여전히 미흡했다. 기업들이 제공하는 ESG 교육(65.8%)과 컨설팅(51.3%) 비율은 증가했지만, 인증 지원(16.6%)과 설비 투자(18.1%) 같은 직접적인 지원은 여전히 부족했다. 이는 협력사들이 ESG 대응 역량을 강화하는 데 한계가 있음을 의미하며, 단순 평가를 넘어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Photo Image
자료=중소기업중앙회

2023년에는 페널티 중심이었던 것과 달리, 2024년에는 인센티브 중심으로 변화하는 추세를 보였다. 실제 협력사 ESG 준수를 촉진하기 위해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기업이 31.7%로 증가했으나, ESG 미흡 시 페널티를 적용하는 기업(29.6%)과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

양찬회 중기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불과 1년 사이에 거래 관계에서 ESG의 영향력이 상당히 커졌는데 협력사 ESG 수준을 실질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인증·하드웨어적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고, 페널티를 부과하는 기업 비율도 높아, 대기업의 상생노력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업종별 맞춤형 ESG 툴킷 등을 활용해 중소기업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박윤호 기자 yuno@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