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고동진 의원, 삼성 주식 보유 논란에 상임위원 배제 압박

산자위 정책결정에 영향 우려
감사관실·인사처 '교체 권고'
고 의원 “10년간 거래 전무
투기목적 아닌 상징적 자산”
이해충돌 기준 적용 문제 제기

Photo Image
제422회 국회(임시회) 제5차 본회의가 지난 2월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렸다. 경제분야 대정부 질문에서 고동진 국민의힘 의원이 발언하고 있다.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국민의힘 고동진 의원이 재산신고 과정에서 드러난 삼성전자 주식 문제로 국회 상임위원회 교체 압박에 직면했다. 삼성전자 사장 출신인 고 의원은 22대 국회에서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산자위)에서 활동해 왔다. 경제·산업 전문성을 바탕으로 국회에 입성했지만, 관련 상임위에서 활동할 수 없게 되면서 이해충돌 방지 제도의 실효성과 형평성 논란도 커지고 있다.

10일 정가에 따르면 국회 감사관실과 정부 인사혁신처는 최근 고 의원의 주식 보유가 산자위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이해충돌 우려를 이유로 상임위 교체를 권고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당내에도 고 의원의 상임위 조정 절차에 착수한 상태다. 권고 사안이긴 하지만 국회 윤리위 경고나 법원의 과태료 처분 가능성이 있어 상임위 조정은 불가피하다는 게 의원실 입장이다.


고 의원은 “10년동안 사고 팔지도 않은 주식을 가졌다는 이유만으로, 경제 관련 상임위에서 배제되는 건 납득하기 어렵다”며 이해충돌 방지 제도의 실효성과 형평성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가 지난 3월 27일 공개한 2025년 국회의원 정기 재산변동사항 신고 내역에 따르면, 고 의원은 본인 명의로 삼성전자 주식 4만8500주, 배우자 명의로 1만3433주 등 총 6만1933주의 삼성전자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

고 의원은“삼성전자에서 대표이사로 재직할 때 회사 요청으로 매입한 것으로, 10년 넘게 단 한 차례도 거래한 적 없는 '상징적 자산'에 가깝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기준이라면 아파트나 땅이 있는 의원은 국토위에 못 가고, 농지가 있으면 농해수위에도 못 가는 셈”이라며 “국회 재임 중에는 백지신탁하겠다는 서약까지 냈으나, 실시간 매매가 가능한 상장주식이라는 이유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고 의원은 '갤럭시 신화'를 쓴 삼성전자 사장 출신으로 국힘에 영입됐고, 강남구병에 출마해 국회에 입성했다. 당에서는 그의 전문성을 살려 산자위에 우선 배정했다. 그러나 현재는 비경제 상임위로 이동해야 하는 상황이다.

문제는 삼성의 경우, 반도체 등 제조업은 물론 국방·교육 등 거의 모든 분야와 직·간접적으로 연관이 있어 사실상 '비연관 상임위'를 찾기도 어려운 실정이라는 점이다.

고 의원은 “이해충돌 심사 기준이 보다 실질적인 거래 내역이나 투자 목적을 중심으로 재검토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실제 국회의원들 가운데 반도체·IT 업종 주식 보유 사례는 많다. 지난해 기준으로 국회의원 및 그 배우자 중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 주식을 10주 이상 보유한 이들이 10여명에 이른다. 일부 의원은 삼성전자 주식을 처분하고 엔비디아 등 해외 기술주로 갈아타기도 한 사례도 확인됐다. 고 의원은 출신 기업의 단일 주식을 보유한 것으로, 이들과는 차별화된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고 의원 뿐 아니라 안철수 의원도 같은 이유로 외교통일위원회에서 활동하는 등 비경제 상임위만 돌고 있다. 안 의원은 '안철수연구소(안랩)' 창업자로 안랩의 주식 186만주를 보유하고 있다.

당내에서도 이해충돌 기준의 적용 방식에 대한 문제 제기가 나온다. 한 여권 인사는 “투기 목적의 자산 보유와 상징성 있는 장기 보유를 동일선상에서 취급하면, 전문성을 가진 인사들의 활동 공간이 축소될 수 있다”면서 “국회의 신뢰를 위해 제도는 필요하지만, 동시에 융통성과 현실성도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성현희 기자 sunghh@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