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정찰위성 4호기 발사 성공…北 도발징후 2시간 단위 정찰

Photo Image
우리 군 정찰위성 4호기가 22일(한국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발사됐다. 이 위성은 군의 중대형 정찰위성 확보를 위한 '425 사업'을 통해 발사하는 4번째 위성이며, 정찰위성 1호기는 지난해 8월 전력화를 완료했고, 2~3호기는 현재 전력화가 정상 진행 중입니다. 정찰위성 4호기는 고성능 영상레이더(SAR)로 야간은 물론이고 기상 상황에 상관없이 지상 표적을 전천후로 관측할 수 있다.〈스페이스X 발사영상 캡쳐〉

우리 군의 4번째 군사정찰위성이 발사에 성공했다. 앞서 발사된 정찰위성과 군집운용을 통해 국방우주력을 강화한다.

국방부는 22일 오전 9시 48분경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군 정찰위성 4호기가 발사됐다고 밝혔다.

군 정찰위성 4호기는 미국 스페이스X 발사체 팰컨9에 실려 발사됐으며, 발사 약 15분 뒤인 오전 10시 3분경 발사체에서 성공적으로 분리됐다.


이후 목표 궤도에 정상 진입했으며, 지상국과 교신을 통해 정상 작동 여부 확인이 이뤄질 예정이다.

군 정찰위성 4호기는 총 1조 3000억원을 투입해 총 5기의 정찰위성을 배치하는 정부의 '중대형 정찰위성 확보 사업' 4번째 위성이다.

앞서 2023년 12월 1호기가 최초 발사돼 전력화를 완료했으며, 지난해 4월과 12월 2, 3호기도 각각 발사된 뒤 전력화가 진행 중이다.

이번에 발사된 4호기는 2, 3호기와 동일한 합성개구레이더(SAR) 위성이다. SAR는 지상에 전파를 쏜 뒤 반사돼 돌아오는 신호 데이터를 합성해 영상을 만드는 방식으로 날씨 및 시간대 영향을 받지 않는다.

5번째 정찰위성 5호기는 연내 발사될 예정이다. 정찰위성 총 5기가 배치 완료되면 군집운용을 통해 송출된 영상을 비교·분석, 정확도가 높은 방대한 양의 관측 자료를 확보할 수 있다.

군은 이를 통해 북한의 특정 표적 및 도발징후를 2시간 단위로 감시·정찰할 계획이다.

발사관리단장인 석종건 방위사업청장은 “향후 현재 개발 중인 초소형 위성까지 발사하게 되면 독자적 우주전력을 구축해 국방우주 강군으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며 “체계적인 우주 전력 증강을 통한 국방 우주력 강화에 지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인희 기자 leeih@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