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줌인] AI, 대선 '정책 격전지'로…3당 전략 갈렸다

인공지능(AI)이 이번 조기 대선의 핵심 정책 의제로 떠오른 가운데, 각 정당이 내세운 'AI 전략'의 성격과 방향성이 뚜렷하게 갈리고 있다. 국민의힘, 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은 최근 모두 AI 전문 위원회를 발족하고 공약 경쟁에 뛰어들었지만, 그 접근 방식에는 차이를 보인다. 단순 기술 정책을 넘어 정당의 국정 철학과 리더십을 가늠할 수 있는 주요 분기점이 될 수 있다는 평가다.

Photo Image
자료 게티이미지

3당 모두 AI 산업 진흥과 인재 육성에는 공통 분모로 가지고 있으나 세부 정책 방향에서는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국민의힘 'AI 3대 강국 도약 특별위원회'는 민관협력 '원팀 전략'을 내세워 산업적 활용도와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기존 제조업 기반 위에 AI 기술을 접목하는 전략으로, 당의 전통적 경제 성장 프레임과 맞닿아 있다. 다만 고가의 GPU를 대규모로 확보하자는 민주당 제안에는 일부 회의적 시각을 드러내고 있다.

민주당은 이재명 당 대표가 직접 위원장을 맡은 'AI강국위원회'를 통해 대규모 공공투자, 제도화, 사회적 대전환을 강조한다. AI 국민펀드 조성, AI 윤리 가이드라인구축, 공공AI 서비스 확장 등을 주요 정책으로 추진한다.


이 대표는 AI를 '제2의 반도체'로 규정하며 적극적 개입을 주장해 왔고, 최근 세계적인 석학 유발 하라리와의 대담 등에서도 산업과 사회 전환을 동시에 꾀하는 비전을 제시했다. 특히 민주당의 AI 구상은 단순한 산업 지원을 넘어 복지·노동·교육 등 전 영역의 구조 개편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가장 큰 스케일의 정책 청사진을 제시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조국혁신당은 기술 전문성과 현장 밀착 전략을 내세우며 독자적 접근을 시도 중이다. '구글 출신' 이해민 의원이 위원장을 맡은 AI특위는 의료·국방·교육 등 여러 분야에 AI를 접목하는 'AI+X' 전략과 디지털 권리기반의 의제를 새롭게 제안하고 있다. 또 '정책 오픈소스화'를 선언하며 다른 당과의 정책 공조도 모색 중이다.

이 의원은 AI특위 츨범식에서 “AI 전문가들의 현장 목소리를 담은 효능감 있는 정책 수립, 그리고 사회적 공감대 형성에 앞장 서고자 한다”며 “특히 AI 담론은 어느 한 정당 안에 가둘 수가 없다. 전책 연대를 통해 초당적 협력을 이뤄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대선과정이 AI 정책을 기반으로 정당의 리더십과 정책 실행 능력 등을 시험하는 무대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정치권 관계자는 “AI 정책의 실효성과 사회적 설득력을 겸비한 정당이 AI 의제의 주도권을 쥐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표〉국민의힘·민주당·혁신당의 AI 특위 운영 현황 및 전략 비교

Photo Image
<표>국민의힘·민주당·혁신당의 AI 특위 운영 현황 및 전략 비교

성현희 기자 sunghh@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