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에 대응하기 위해 9조원 규모 수출금융을 추가 공급한다.
정부는 1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이같이 결정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위기대응 특별프로그램'을 신설해 중소·중견기업에 최대 2%포인트(P) 인하된 금리로 3조원을 공급한다. 수출 대기업에는 2조원의 추가자금을 공급한다. 대기업에 납품하는 중소·중견기업의 상생지원을 위한 정책자금은 3조원 지원하고 1조원 규모의 '수출 다변화 금융프로그램'도 신설하기로 했다.
수출금융과 별개로 1조원 규모의 '공급망 안정화 펀드'를 상반기 조성한다.
최 부총리는 “우리나라는 수출을 주력으로 삼아 성장한 만큼 현재의 변화하는 통상 환경이 우리 경제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며 “복잡하고 긴장감 높은 새로운 '게임의 룰'이 등장했고 그 속에서 우리의 생존·성장 전략을 찾아야만 한다”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과감하고 신속한 지원을 추진하며 무역과 산업, 공급망 변화에 대한 근본해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기재부 1차관이 주재하는 '통상현안 관련 범정부 국내대응 TF'(태스크포스)를 가동한다.
해외수주가 1분기 양호한 실적을 거둔 만큼 동력을 이어갈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강화하고, 500억 달러 수주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주요 프로젝트를 지속 점검·관리할 방침이다.
최다현 기자 da2109@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