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미국 관세 우려…“대외여건 악화로 경제 하방 압력 증가”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정부가 우리 경제의 하방 압력이 증가하고 있다는 판단을 유지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 인용으로 내부 불확실성은 해소된 반면 미국의 관세정책으로 외부 위험이 커지고 있다고 봤다.

기획재정부는 11일 발간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4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소비·건설투자 등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취약 부문 중심 고용 애로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 관세부과에 따른 대외여건 악화로 경기 하방 압력이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조성중 기재부 경제분석과장은 “국내 정치 일정과 향후 절차를 어느 정도 명확하게 알 수 있게 됐기 때문에 내부 불확실성보다는 외부 여건이 우리 경제에 더 큰 하방 압력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미국의 관세 조치와 관련해서는 상호관세가 90일 유예됐지만 10% 기본관세 및 품목별 관세는 지속되고 있어 전월 대비 상황이 악화됐다고 봤다. 하방 압력이 증가하고 있다는 표현은 지난달과 같지만 상황은 더 악화된 것으로 본 것이다.

산업활동동향 주요 지표도 등락을 거듭하는 모습이다. 지난 2월에는 생산과 소비, 투자 지표가 감소한 지 한 달 만에 모두 증가세로 전환했다. 3월 수출은 IT 수출 호조로 2개월 연속 플러스를 나타냈다.

정부는 3월 소매 판매에는 할인점 카드 승인액과 방한 중국인 관광객 수 증가 등은 긍정적 요인, 백화점 카드 승인액 감소와 소비자심리지수 하락 등은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발 관세전쟁 격화로 기업 수출과 생산이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도고 있다.

정부는 글로벌 경제에 대해 주요국 관세 부과에 따른 통상환경 악화 등으로 국제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와 교역·성장 둔화 우려가 있다고 진단했다.

기재부는 “미국 관세 부과에 따른 우리 기업 피해지원, 산업경쟁력 강화 등을 위한 필수 추경 신속 추진 등 통상 리스크 대응에 총력을 다하겠다”며 “일자리·건설·소상공인 지원 등 민생경제 회복 지속·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최다현 기자 da2109@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