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에서 COP27이 개최됐다. COP27는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로, 세계 200여 국가가 모여 기후변화 상황·대응책·질서 등을 논의했다. 올해 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에너지 위기가 지속되다 보니 세계 관심이 COP27에 모였다.
올해 들어 폭우, 홍수, 엘리뇨, 가뭄, 대형 산불 등 세계 곳곳에서 기후 위기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더 이상 남의 나라 이슈로만 볼 수 없는 상황이다.
에너지 위기와 함께 기후 위기 대응 등 여러 대책이 제시되고 있다.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것부터 탄소 감축 기술과 클린에너지 활용을 위한 제도가 마련되고 있다.
에너지난을 겪고 있는 유럽연합(EU)이 가장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EU 이사회는 Fit For 55 발표 이후 2030년까지 모든 신축 건물을 넷제로(Net-Zero)로 만들고, 이를 위한 합의 내용을 다음 달 발표할 예정이다. 단순히 에너지원의 비중 전환뿐만 아니라 생활 속에서 탄소 배출에 대한 행동을 동시에 추진해야 한다는 강력한 의지가 담겨 있다.
국내를 포함해 도시화가 많이 진행된 국가들은 도시에 많은 건축물이 있으며, 이러한 건물은 많은 전력을 소비하고 있다. 이 분야에 대한 기술적 해법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기술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건물 내 전력 사용을 정확하게 모니터링하고 각 공간의 목적과 내부에서 이뤄지는 활동을 데이터화해서 에너지 소비를 효율적으로 하는 것이 우선이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추가적 에너지다. 태양광발전 등 클린에너지를 사무용 빌딩이나 주거 목적의 공공주택에 설치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건물이 지어진 후 옥상 등을 활용해야 한다는 부담이 있기 때문이다. 건물의 디자인적 요소도 부동산 가치를 높이는 부분이기 때문에 설계 초기부터 디자인과 부합할 수 있는 요소가 필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의 대안으로 제시되는 것이 건물일체형태양광모듈(BIPV)이다. 모듈 제조사들이 다양한 기술을 접목해서 BIPV를 개발하고 있다. BIPV용으로 개발된 제품은 이미 230W 출력까지 향상돼 발전 목적으로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이와 함께 건물 일체형 목적에 맞춰 다양한 컬러도 개발됐다.
신축뿐만 아니라 기존 건물 역시 리모델링을 통해 BIPV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심미성과 에너지 효율성 모두 확보할 수 있다. BIPV는 건축 외장재 기능이 있기 때문에 건물 신축에서 경제성까지 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국내 역시 제로에너지빌딩 제도가 마련되고 있다. 내년부터는 연면적 500㎡ 이상 공공건물 및 30가구 이상 공동주택을 시작으로 제로에너지 빌딩 인증을 의무화해 나갈 예정이다.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탄소를 감축하고 클린에너지를 사용해야 한다. 모두가 익숙한 것에서 변화해야 하기 때문에 쉽지 않은 과정이다. 이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가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술' 시도와 도입이 이뤄져야 하며, 정부와 기업의 적극적 협력을 통해 추진돼야 한다.
여기에는 정부의 연구개발(R&D) 지원, BIPV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 마련 등이 필수다. 글로벌 리서치 업체 보고서에 따르면 BIPV 시장은 2021년 117억달러에서 2031년 약 1000억달러 규모로 성장한다. 국내 기업들의 기술로 세계 랜드마크 건물에 멋진 BIPV 제품을 설치할 날을 기대해 본다.
김신우 신성이엔지 이사 swkim@shinsung.co.kr
-
류태웅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