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생명공학연구원(원장 김장성)은 26일 대전 본원 대회의장에서 '차세대 mRNA 전달 플랫폼 기술개발 동향 및 전망'을 주제로 한-미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mRNA(메신저 리보핵산) 기술은 차세대 백신과 치료제 게임체인저로 손꼽히며 코로나19 팬데믹 국면전환의 주역 중 하나로 전 세계의 집중을 받은 바 있다.
전통적인 백신보다 짧은 기간에 제품을 생산할 수 있어 각종 감염병에 빠른 대응이 가능하다. 암을 비롯한 다양한 희귀 난치 질환 치료제 개발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생명연은 지난해 9월 체결된 한-미 백신 협력 협약에 따라 mRNA 분야 선도그룹으로 손꼽히는 미국 펜실베니아대와 연구 협력, 교류를 이어오고 있다.
이번 심포지엄 역시 연구 협력 일환으로 마련됐으며 국내외 전문가가 참여한다. 행사는 총 3개 세션으로 구성돼 있으며, mRNA 기반 백신 및 치료제 플랫폼 기술에 관한 최신 연구 동향과 전망을 공유하고 협력사업의 향후 진행에 대한 폭넓은 논의가 이뤄졌다.
1부에서는 'mRNA 전달을 위한 지질 나노입자 연구개발'을 주제로 이혁진 이화여대 교수, 마이클 J. 미첼 펜실베니아대 교수, 전상용 KAIST 교수의 발표가 있었다.
2부에서는 '암 백신용 mRNA와 전신 투여 목적 mRNA 전달'과 관련 손세진·김현진 인하대 교수, 용석범 생명연 전임연구원의 주제발표가 있었다.
이후 mRNA 전달 플랫폼 기술개발 연구 동향과 발전 방향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김장성 원장은 “mRNA는 인류가 감염병의 위협에 대응하는데 돌파구를 마련해 준 기술이나 아직 전달체의 전달효율, 안전성 등 한계가 있다”며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국내외 연구자들의 연구 교류와 집단지성 발휘의 장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를 주관한 치현주 생명연 핵산치료제연구센터장은 “mRNA 백신에 관한 기술확보를 위한 실질적 연구 협력이 이뤄지는 방안을 모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