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패권 전쟁 생존전략은…성안당, '2030 반도체 지정학' 발간

'반도체 굴기(起)'를 선언한 중국이 반도체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자국 생산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2021년 4월 미국 백악관에서 열린 '반도체 최고경영자(CEO) 서밋'을 시작으로 중국을 향한 미국의 견제가 본격화됐다.

미국은 화웨이 제제 등으로 중국을 직접 견제하는 한편 한국, 대만, 일본 등 나라에 반도체 동맹을 제안하며 사실상 중국을 고립시키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미국은 미국 내 반도체 공장을 짓는 기업에 세제 혜택 및 보조금 지원 등을 약속하며 대신 향후 10년간 중국을 비롯한 비우호 국가에 투자를 제한할 것을 조건으로 내걸기도 했다.

Photo Image
성안당이 발간한 2030 반도체 지정학 책 표지.

중국 반도체를 향한 미국의 견제가 집중됨에 따라 반도체 자립의 중요성이 대두되며 그 여파가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다. 미국과 중국뿐 아니라 대만, 한국, 싱가포르, 독일 등 세계에 퍼지는 위험을 감지한 나라들은 일제히 자국의 반도체 산업을 강하게 만들겠다고 달려들고 있다. 국제정치·경제의 흐름과 자국의 이해득실을 따지며 전략적으로 계산기를 두드리는 것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도서출판 성안당이 발간한 '2030 반도체 지정학'은 반도체를 둘러싼 세계 각국의 패권 경쟁과 국제 정세를 지정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책이다. 특히 기술이나 반도체 전문가가 아닌 언론인이 쓴 책으로 복잡하게 얽힌 사회적 이슈와 현안을 쉽고 명쾌하게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특별하다. 뉴스 헤드라인 뒤에 숨은 의미를 기자 특유의 시각에서 통시적으로, 그리고 공시적으로 맛깔나게 엮어냈기 때문에 반도체를 둘러싼 각국의 의도, 국가별 장단점과 전략이 일목요연하게 정리된다. '다 아는 내용'이라 치부될 부분도 하나하나 되짚기에 폭넓은 이해와 객관적 해석에 도움이 될 것이다.

'2030 반도체 지정학'의 저자이자 '닛케이신문'의 논설위원인 오타 야스히코는 미국과 중국 사이의 양자택일 구도가 첨예해진 상황에서 “한국은 당장 눈앞의 경제적인 득실이 아닌 보다 거시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바라봐야 할 문제”라고 말한다.

저자는 “지금은 미국에 파운드리가 없어 TSMC와 삼성을 미국으로 초대했지만, 한편으로는 인텔과 글로벌파운드리스에 대한 지원도 급격히 늘리고 있다. 인텔과 글로벌파운드리스가 TSMC와 삼성의 기술을 따라잡으면 어떻게 될까? 혹시 중국이 TSMC와 삼성을 넘어선다면?”이라는 질문을 던지며 “상황에 따라 어떠한 동맹이라고 해도 경쟁과 긴장 관계는 발생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한 과거 '미·일 반도체협정'을 예로 들며 일본의 교훈을 살려 한국은 똑같은 실수를 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1980년대 미국은 미국 반도체 시장을 위협하는 일본을 압박해 반도체협정을 맺어 일본 반도체 산업을 쇠퇴시키고 그사이 미국 내 반도체 산업을 일으켜 세운 전적이 있다.

그때의 일본 상황을 떠올리며 “일본 정부는 미국과는 정치적, 군사적 동맹이기 때문에 경제에 있어서는 시장 논리와 민간기업의 실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고 말한 저자는 “'신뢰관계'의 의미가 동서양에서 다르기 때문에 미국과의 관계 유지 방법도 조심해야 한다. 이 책이 그 답을 찾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국어판 출간을 기념해 강유종 SK하이닉스 법인장과 저자가 나눈 대담이 특별 수록되었다. 반도체 산업 종사자로 업계의 변화를 기민하게 파악하는 강유종 SK하이닉스 일본법인장의 날카로운 질문과 냉철하지만 핵심을 꿰뚫는 저자의 답변이 담겨 있다.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등 2022년 급변한 정세 상황에 대한 견해, 중국 본토 내에 투자한 기업에 건네는 조언, 미·일 반도체협정을 겪은 입장에서 한국에 전하는 당부의 말 등 현 상황을 이해하고 타개하는 데 도움이 되는 혜안을 엿볼 수 있다.


김한식기자 hskim@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