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언론사를 겨냥한 뉴스 정책에 변화를 줬다. 네이버는 뉴스 제공 대가를 주던 방식을 폐지하고 광고수입 모두를 언론사에 주는 형태로 시스템을 개편한다고 밝혔다. 뉴스 전재료와 상생기금을 제휴 언론사에 나누는 현행 모델을 폐지하고 네이버 인링크에서 나오는 광고수입을 전부 지급하는 모델로 전환했다. 시행착오를 감안해 내년부터 3년 동안은 이전 8분기 전재료 평균과 비교해서 적다면 보전해 주기로 했다. 언론사 광고수익은 트래픽을 바탕으로 지급한다. 배분 공식은 순방문자수, 조회수, 누적 구독자수, 순증 구독자수, 사용자 충성도, 유효 소비기사 수를 바탕으로 한다.
미디어 파트너스 데이에서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핵심은 네이버는 플랫폼만 제공하고 나머지는 제휴 미디어에 모든 권한을 돌려주겠다는 방침으로 읽힌다. 뉴스 화면 디자인, 콘텐츠 구성은 물론 이에 따른 수익까지 전적으로 책임지고 운영하라는 것이다. 광고 수입을 위해 지금까지 없던, 기사 중간에 광고를 넣는 방식까지 도입하기로 했다. 바뀐 미디어 정책에 따른 결과는 두고 봐야 한다. 뉴스 서비스에 어떤 결과를 미칠지 아직 명확하게 예측하기는 어렵다. 언론사 규모, 브랜드 파워, 구독자 수 등에 따라 입장이 달라질 수 있다.
뉴스 질 개선 측면에서는 셈법이 복잡해진다. 자칫 콘텐츠가 아니라 클릭 경쟁에 내몰릴 수 있기 때문이다. 광고료 배분 공식은 복잡해 보이지만 본질은 '트래픽'이다. 구독을 늘려야 수익이 늘어나는 구조다. 언론사끼리 경쟁이 가열되면서 선정 기사는 물론 어뷰징과 같은 편법이 횡행할 수 있다. 네이버는 실검 어뷰징 기사에 불이익을 주겠다고 했지만 과거 경험에 비춰볼 때 과연 정확하게 잡아낼 수 있을지 의문이다. 온라인과 모바일은 손쉽게 뉴스를 본다는 장점은 있지만 가짜뉴스 등을 검증하는 시스템 부재로 몸살을 앓고 있다. 언론사는 광고를 위해 뉴스를 생산하지 않는다. 초등학생도 아는 상식 같은 이야기다. 네이버도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양질의 콘텐츠 유통까지 감안했으면 하는 아쉬움이다.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
1
[콘텐츠칼럼]게임 생태계의 겨우살이
-
2
[ESG칼럼] ESG경영, 변화를 멈출 수 없는 이유
-
3
[ET단상] 자동차산업의 SDV 전환과 경쟁력을 위한 지향점
-
4
[ET톡] '공공기관 2차 지방이전' 희망고문
-
5
[ET시론]정보화 우량 국가가 디지털 지체 국가, AI 장애 국가가 되고 있다
-
6
[人사이트]박세훈 근로복지공단 재활공학연구소장 “국산 고성능 의족, 국내외 보급 확대”
-
7
[디지털문서 인사이트] AX의 시대와 새로운 디지털문서&플랫폼 시대의 융합
-
8
[김태형의 혁신의기술] 〈21〉혁신의 기술 시대를 여는 서막(상)
-
9
[전화성의 기술창업 Targeting] 〈333〉 [AC협회장 주간록43] 2025년 벤처 투자 시장과 스타트업 생태계 전망
-
10
[김종면의 K브랜드 집중탐구] 〈29〉프로스펙스, 우리의 레이스는 끝나지 않았다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