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인구감소 심각...늦기전에 종합대책 세워야

우리나라 총인구가 2031년 5296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감소세로 돌아설 것으로 예측됐다. 앞으로 100년 뒤인 2115년 우리나라 인구는 지난해 절반 수준인 2582만명까지 떨어진다. 2500만명은 현재 북한의 인구 규모다.

정부는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올해 3763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내년부터 당장 감소하기 시작, 2020년대부터 매년 30만명 이상 급감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의 생산가능인구 비중은 지난해 73.4%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가장 높았지만 2065년에는 47.9%까지 떨어지며 가장 낮아질 것으로 우려된다. OECD 내에서 `가장 활력 없는 국가`로 추락할 수 있다는 것이다.

Photo Image
총인구 및 인구성장률(자료:통계청)

인구 감소는 저출산이 주원인이다. 인구 감소는 국가 생산 능력에 차질을 야기한다. 젊은 노동층은 크게 줄어든 가운데 고령층이 사회와 경제를 지탱해야 하는 일이 불가피해 보인다.

가뜩이나 내수 시장 규모가 작은 우리나라에는 최악의 시나리오가 될 수밖에 없다. 내수 시장에서 비즈니스를 영위하는 기업은 당장 100년 후 고객의 절반이 없어지는 문제에 봉착할 것이란 우울한 소식이다.

저출산의 근본 원인은 청년의 `미래 불확실성` 탓이 크다. 결혼을 미루거나 늦추고 출산을 하지 않는 인구가 늘고 있다. `혼술` `혼밥`이란 말이 자주 회자되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인구 감소에 대비한 종합 대책을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 무엇보다 젊은 층 고용 확대와 창업 시도에는 적극 지원이 필요하다. 여성 인력을 포함해 `가정`과 `일`을 균형 있게 할 수 있는 사회 분위기도 빨리 안착시켜야 한다.

Photo Image

우리와 유사한 문제를 겪은 해외 일부 국가에서는 이민자 적극 수용, 귀화 확대, 다문화가정 확대 방안까지 나왔다. 인구 감소는 서서히 다가오지만 국가 시스템 전반을 위협할 가장 큰 위협 요인이다. 단기간 내 반전을 이루기도 어렵다. 더 늦기 전에 정부와 사회 구성원 전체가 심각한 고민과 대책 마련에 동참해야 한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