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최대 규모로 평가받고 있는 목동의 KT 인터넷데이터센터(IDC)는 상면 면적만 약 6만6000㎡(2만여평)에 달한다.
KT IDC는 만에 하나 발생할 수 있는 재해 및 재난을 고려해 다양한 대비책을 갖추고 있다.
우선 안정적인 운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1차적으로 물리적 시스템 장애의 가장 큰 원인이 되고 있는 전력 수급의 안정화에 가장 많은 신경을 쓰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최고 용량인 4만KW의 수전용량 설비와 함께 전력시스템의 안정화를 위해 3중 백업환경을 구축하는 등 서비스 안정화를 위한 다양한 설비시설을 갖췄다.
또 내외부 고객의 핵심 데이터에 대한 백업 작업을 일단위로 철저하게 진행하고 있다. 최신 백업본을 보유하고 있지 않을 경우 그만큼 고객 서비스가 중단되는 등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크기 때문이다.
KT IDC의 김종렬 IMO운용센터장은 “매일 아침마다 백업이 정상적으로 이뤄졌는지 여부를 KT IT서비스관리(ITSM) 시스템을 통해 고객에게 보고하고 있다”며 “이와 함께 백업 데이터에 대한 주기적인 복구 테스트를 수행하고 있어 백업 서비스에 대한 고객들의 만족도가 높은 편”이라고 강조했다.
이 외에도 KT는 백업 데이터의 정확성을 검증하는 프로세스도 별도로 두고 있다. 재해복구테스트도 이와 유사하다. 정기·비정기적으로 테스트를 수행해 DR 데이터의 정확성 및 재해복구 프로세스를 상세히 검증하고 있다. 고객별로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상반기와 하반기에 한 차례씩 재해 복구 관련 모의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KT IDC는 많은 기업들이 재해복구시스템을 운영하는 목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총 20여개사가 현재 재해복구 아웃소싱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다. 기업마다 백업 및 DR 관리 체계를 달리하고 있지만 통상적으로 운용체계(OS) 데이터를 포함한 모든 고객 데이터에 대한 백업을 KT IDC에서 직접 수행하고 있다. 다음은 김종렬 IMO운용센터장과 일문일답.
-일반 기업들의 백업 체계와 비교했을 때 KT IDC의 차이점이 있다면.
▲KT IDC의 백업체계는 3단계 백업을 전제로 한다. 첫째 비즈니스연속성볼륨(BCV, Business Continuity Volume) 솔루션을 통한 1단계 백업을 수행함으로써 백업으로 인한 서비스 영향을 우선 최소화한다. 2단계로 가상테이프라이브러리(VTL) 백업을 수행해 최단시간 내 백업을 완료하도록 하고 있다. 마지막 3단계는 물리적테이프라이브러리(PTL) 백업으로 영구 및 소산 백업을 위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기업들이 3시간 내 데이터를 복구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는데, BCV 솔루션을 통한 백업의 경우 단 수분 만에 복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재해복구시스템의 경우 유휴 자원으로 머물러 있는 경우가 많아 시스템 자원의 효율성이 문제가 될텐데....
▲재해복구시스템은 일종의 보험과 같다. 재해가 발생하지 않으면 활용할 기회가 없는 게 사실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재해복구시스템도 주센터 시스템의 일부 업무를 수행하는 형태로 활용되고 있다. 실례로 국내 A은행은 DR시스템을 통해 인터넷 뱅킹 업무를 제공하고 있다. 또 조회용이나 검증용 시스템이 필요한 경우에도 DR 시스템을 활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KT IDC에서 재해복구 혹은 백업센터 아웃소싱 서비스 고객들은 어느 정도 있는가. 최근 이들 고객들의 요구사항이 예전과 달라진 점이 있다면.
▲현재 KT IDC에서 백업센터 아웃소싱 서비스를 받고 있는 고객은 20여개사다. 이들은 은행, 보험 등 금융회사, 온라인서비스 회사, 제조기업 등 다양하다. 보안상 구체적인 고객명을 밝히기는 어렵다. 예전 고객들과 비교했을 때 달라진 점은 DR 장비에 대한 활용을 적극적으로 고민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가상화, 클라우드 컴퓨팅 등을 통한 비용절감 방안을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DR 및 백업 아웃소싱 서비스의 고도화 계획은.
▲백업 및 DR 아웃소싱 서비스를 클라우드 서비스로 제공할 계획을 준비하고 있다. 고객 데이터의 증감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고객이 IT 자원을 필요한 만큼만 빌려쓰고 사용한 만큼 요금을 지불하면 되기 때문에 시스템 도입 비용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백업 및 DR 시스템의 신속한 구축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근 들어 데이터센터 통합 작업이나 신규 센터 구축 움직임이 활발하다. 이들 기업들에 조언한다면.
▲DR의 최우선 목표는 주 전산센터의 재해 상황 발생시 서비스 장애 없이 신속하게, 그리고 최단시간 내 업무연속성을 보장하는 것이다. 막대한 비용을 투자해서 DR 시스템을 구축하지만 정작 재해상황 발생 시 복구시간목표(RTO)와 복구지점목표(RPO)에 대한 요구에 민첩하게 부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DR 구축 후에는 반드시 정기적으로 전사적인 DR 테스트를 통해 업무 정상 가동 여부를 필수적으로 점검해야 한다. 위험 요소를 사전에 감지, 제거하는 활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해야 할 것이다.
-앞으로 주목해야 할 DR 및 백업 관련 기술동향은 무엇인가.
▲데이터 중복 제거 기술과 중복 제거된 소량의 데이터만을 실시간으로 원격 DR센터로 복제해주는 원격 소산 기술 등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 데이터웨어하우스 시스템을 위한 아카이빙 솔루션 및 클라우드 컴퓨팅 가상서버 환경에서의 백업 등을 관심있게 지켜봐야 할 것이다.
성현희기자 sunghh@etnews.co.kr
-
성현희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