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IT 재도약대 `BcN 시범사업`

 정부가 새로운 디지털 융합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상반기중 광대역통합망(BcN)과 차세대인터넷주소체계(IPv6)시범사업을 민관이 함께 추진키로 한 것은 바람직하다.

 우리나라는 지난 95년부터 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지금은 명실상부한 세계 최고의 정보인프라를 갖춘 나라로 인정받고 있다. 하지만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IT기술추세를 선도하고 한 차원 발전한 고품질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없지 않은 게 사실이다. 따라서 우리가 언제 어디서나 고품질의 광대역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려면 미래 초고속 통신인프라인 BcN의 조기 구축은 불가피한 일이다. 또한 BcN 기반위에 다양한 지능형 정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IPv6도 서둘러 구축해야 한다.

 이런 점에서 정부가 올해를 BcN과 IPv6 사업의 원년으로 삼아 8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민관 공동의 BcN 및 IPv6 시범사업 및 상용망 시범사업에 나서기로 한 것은 미래 IT산업의 재도약을 위한 시발점이 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정부가 이같은 시범사업을 추진할 경우 그동안 일부 업체들이 산발적으로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해 겨우 구상단계에 머물던 BcN과 IPv6 사업이 이제는 구체적인 실행단계로 접어드는 계기가 될 것이다.

 잘 알다시피 시대가 변할수록 기존 인프라에 대한 사용자의 기대수준이나 요구는 고도화되는 게 일반적인 현상이다. 지금 우리가 확보한 초고속인프라도 시일이 지나면 네트워크 대역폭에 한계가 있고 인터넷 주소자원도 고갈될 수밖에 없다.

 이런 시점에 정부가 BcN과 IPv6 시범사업을 통해 수익모델을 개발하고 시대적 추세인 방송통신·유무선 융합서비스를 선도할 경우 우리나라는 IT강국의 확고한 비전과 미래 기술의 대안을 세계에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자면 정부와 기업이 유기적인 협조아래 집중과 선택을 통해 전략적으로 이 사업을 추진해 나가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정부와 업계의 이견을 조속히 해소해 업체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정부는 지난해까지 70개 안팎에 그쳤던 IPv6 선도적용 기관을 올해는 90곳 가까이 늘리고 민간 업체들이 개발한 국산장비를 시험해볼 수 있는 IPv6 시범망도 상반기중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이런 일에 차질이 발생해서는 안된다. 특히 현재 초고속정보통신망 장비는 외산의존도가 50% 정도다. 외산을 국산으로 대체하려면 자체 개발한 장비의 성능이 외산못지 않다는 점을 시험해 봐야 한다. 우리가 과감하게 국산제품을 사용해야 장비업체들이 의욕을 갖고 국산장비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다.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와 기가의 융합이 가속화되면서 이 시장이 새로운 수익원이라는 기대감이 없으면 업체의 참여는 기대하기 어렵다. 기업이 연구개발이나 인력양성에 소극적이면 국내 기술경쟁력도 향상될 수 없다.

 정부는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지속적인 인프라 고도화를 추진하고 망구축과 기술개발을 연계해 실질적인 수익창출 모델을 업계에 제시해야 한다. 반면에 업계의 중복투자는 사전에 막아야 한다. 특히 표준모델을 토대로 이를 수익과 연결시켜 상용화하고 나아가 국제표준도 추진해야 할 것이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