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 코스피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이후 가장 큰 폭의 내림세를 연출했다. 며칠간 비교적 선방해 온 주식 시장이 상호관세 리스크에 본격 반응하기 시작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한국이 처한 상황은 어느 나라와 비교해도 좋지 않다.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나라 가운데 가장 높은 세율(25%)을 적용받은 것은 물론이고 미국, 중국의 갈등 격화로 인한 유탄까지 걱정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중국은 미국으로부터 관세율 34%를 적용받은 이후 동일 관세율로 맞불을 놨다. 여기에 희토류 수출 규제 등으로 사실상 미국과 전면전을 불사하고 있다.
한국의 1, 2위 수출국인 미중 갈등은 최악의 시나리오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미국이 보편관세를 부과하고, 주요국이 맞대응하는 최악 시나리오가 펼쳐진다면 한국 수출이 70조원 가량 줄어들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난맥상은 바로 해소되기 어려워 보인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6일(현지시간) 오는 9일로 예정된 미국의 무역 상대국에 대한 상호관세 부과와 관련, 협상을 위해 상호관세 부과를 연기하거나 유예할 가능성이 없다고 밝혔다.
상호관세 부과일 이전에 일부 국가와의 협상을 통해 상호관세 시행을 연기하거나 유예할 가능성을 일축했다.
정부 역량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트럼프 대통령이 주요 교역국에 징벌적 상호관세를 부과한 배경에 무역수지 불균형이 자리하고 있다. 이를 고려하면 우리가 미국에 어떤 이익을 제공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알래스카 프로젝트로 대변되는 액화천연가스(LNG) 도입 확대, 조선 분야 협력 등 거론되는 다양한 방안 중 우리도 실익을 얻을 수 있는 방안을 되도록 빨리 찾아야 한다. 이와 함께 산업 공급망 개선 나아가 전환을 성공적으로 이끌 묘수도 마련해야 한다.
최호 기자 snoop@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