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된 MG손해보험 정리 과정에서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수차례 매각 실패와 함께 시장에 혼란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MG손보 노조 반대로 메리츠화재가 인수를 포기하면서, 대형 손해보험사들이 MG손해보험 계약을 나눠 갖는 '계약이전' 방식이 가장 현실성 있는 방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다만 과거 사례를 보면 계약이전에도 상당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20여년 전 리젠트화재가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되고 계약이전 방식으로 정리될 때, 당시 노조는 타 보험사의 계약이전 실사를 방해한 바 있다.
앞서 MG손보 노조가 고용 승계 및 안정 등을 이유로 메리츠화재와 예금보험공사의 인수 실사를 제지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계약이전 실사도 거부할 가능성이 있다.
불확실성 속에서 124만명에 달하는 MG손보 보험계약자들은 불안에 떨고 있다. SNS 상에선 기존 MG손보 보험을 해지해야 하는지를 포함해 다양한 대처 방안을 논의하는 게시물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계약이전 없이 MG손보가 청·파산에 이르게 될 경우 계약자들은 예금자보호 한도 내 금액만 돌려받고 보험이 사라지게 된다. 기존에 가입했던 보험이 없어졌을 때 다치기라도 한다면 '보장 공백' 상태에 놓일 가능성이 커 공포감이 확산되는 모습이다.
소비자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힘을 모아야 할 시기지만, 혼란을 악용하는 사람들도 나타나고 있다. MG손보가 파산할 것이라며 다른 보험에 가입하라는 식의 영업을 시도하는 일부 설계사가 등장하면서 보험업계 전체에 대한 신뢰도를 저하시키고 있다.
MG손해보험 부실은 회사를 믿고 보험에 가입한 소비자 탓이 아니다. 이해관계자들 모두가 소비자 보호를 최우선으로 고려한 의사결정이 필요해 보인다.

박진혁 기자 s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