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0나노미터 광학 소자' 제조 기술 개발

김대식 특훈교수팀, 나노 공정 기술의 한계 극복
반도체 초미세 소자 제조 등에도 응용 가능

Photo Image
0나노미터 광학소자 제조기술을 개발한 김대식 특훈교수팀(왼쪽부터 바다데브 다스 연구원, 윤형석 연구원, 김 교수)

나노공정의 한계를 극복한 0나노미터급 광학소자 제조 기술이 개발됐다.

UNIST(총장 이용훈)는 김대식 물리학과 특훈교수 연구팀이 0나노미터(nm, 10-9m)에서 시작하는 '초미세 틈 구조(제로 갭) 제작 공정'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이 제로 갭 구조를 잘 휘어지는 기판에 구현하면 안테나를 비롯해 초고효율 광학 능동 소자로 사용할 수 있다.

제로 갭 구조는 얇은 금속 층이다. 기판 위에 두 금속 층을 인접해 쌓으면(증착) 경계면에 초미세 균열이 생긴다. 기판을 구부리면 장력에 의해 0나노미터에 가까운 틈새가 생기고, 장력을 제거하면 연결된다. 틈이 열리면 틈 내부에 전기장이 증폭돼 전자기파가 높은 비율로 투과되고, 틈이 일부만 닫혀도 투과도는 급격히 낮아진다.

이러한 열고 닫을 수 있는 제로 갭 구조를 이용하면 전자기파(빛) 투과도가 1에 가까운 'on'과 10-5 정도인 'off' 상태를 오가는 능동 광학 소자를 만들 수 있다.

시험 결과 스위칭 효율을 나타내는 on/off 비율은 105를 나타냈고, on/off 전환을 1만 번 이상 반복해도 성능을 그대로 유지했다.

Photo Image
0나노미터 광학 소자의 제작 방법 및 작동 원리.

초미세 나노공정은 고성능 반도체 칩 개발을 비롯해 초정밀산업 핵심기술이지만, 초미세 구조와 공정 단위가 0에 가까워질수록 기술 개발 속도도 한계치에 가까워져 더딜 수밖에 없었다. 김 교수팀은 더 이상 초미세 구조 구현이 어렵다면 아예 0에서 시작해 구조를 쌓아나가는 방식에 착안했다.

김대식 특훈교수는 “틈 구조를 이용한 광학소자는 '단락(on-off)'이 확실해 스위칭 효율이 높고, 복잡한 나노 공정도 필요치 않아 실제 소자로 바로 활용할 수 있다”며 “금속 대신 쉽게 제거(식각) 가능한 고분자 물질을 사용하면 1나노미터 미만의 반도체 소자 제작에도 쓰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어드밴스드 옵티컬 머티리얼즈' 3월 24일자에 실렸다. 한국연구재단(NRF) 지원을 받아 서울대, 강원대와 공동 수행했다.


울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