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지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이 13일 원화의 신흥국 통화로서의 성격을 고려, 우리나라 통화정책은 주요 선진국과 다를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마이너스 금리'를 채택한 유럽, 일본이나 세 차례 연속 금리를 인하한 미국과 같은 길을 가서는 안된다는 의미다.
이날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임 위원은 “비슷한 경기 흐름에 직면한다고 하더라도 통화정책의 작동과정은 개별경제의 금융·경제 구조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신흥국 금리와 주요 선진국 금리는 어느 정도 격차가 유지되도록 요구되고 있다”며 “이는 당장 자본 유출을 우려해서라기보다는 미래 어느 시점에 발생할 수 있는 금융 불안정 리스크를 염두에 둔 일종의 헤지(위험회피) 또는 사전적 건전성 확보 조치”라고 설명했다.
신흥국과 주요 선진국 간 금리 차가 좁혀지면 자본 유출이 발생하고 이는 통화가치 하락으로 이어진다는 게 임 위원의 설명이다.
이어 “이런 흐름을 제한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정책이 정책금리를 인상하는 것”이라며 “문제는 환율을 안정화하는 데 필요한 금리 인상 폭이 신흥국의 경우 상대적으로 더 크다는 점에 있다”고 지적했다.
결국 환율 변동의 특성 차이로 인해 신흥국의 통화정책은 제로금리 혹은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펼치는 주요 선진국의 통화정책과는 다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제로금리' 정책까지 고려해야한다는 다른 위원과는 배치되는 의견을 제시했다. 임 위원은 10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도 금리 동결 소수의견을 내놓은 바 있다.
임 위원은 원화가 선진국이 아닌 신흥국 통화의 특징을 보인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그는 “우리나라 대외건전성이 지난 3∼4년 새 양호한 정도가 조금씩 줄고 있고, 외환위기 측면에서 문제가 전혀 없는 수준은 아직 아니다”라며 “지난 20년 새 외환·금융위기를 겪으면서 트랙 레코드가 좋지 않은 편"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도 “향후 글로벌 경기 하락기의 큰 사이클을 잘 견디고 지나가면 원화의 위상도 달라질 여지가 있다”고 덧붙였다.
함지현기자 goha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