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칫 운전을 방해할 수 있는 차량 대화형서비스의 안전성을 대폭 강화하는 인공지능(AI) 기반 기술이 개발됐다. 다양한 센서 데이터, 주변 환경 정보를 통합 분석해 대화 시점을 찾아내는 기술이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신성철)은 이의진 산업 및 시스템공학과 교수팀이 차량 AI가 능동적으로 운전자 대화 서비스 제공 시점을 판단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차량 대화형서비스는 편의와 안전을 동시에 제공해야 한다. 운전 중 대화형 서비스에 집중하면 전방 주시에 소홀해지거나 주변 상황에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연구팀은 적절한 시점 판단을 위해 △현재 운전상황 안전도 △대화 서비스 수행 성공률 △운전자가 느끼는 주관적 어려움을 통합 고려한 인지 모델을 제시했다.
이 인지모델은 개별 척도를 다양하게 조합, AI 에이전트가 제공하는 대화형서비스 유형별로 개입 시점을 개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일기예보 같이 단순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 운전상황 안전도만 고려한다. 간단한 대답을 해야 하는 질문의 경우 대화 서비스 수행 성공률도 함께 고려한다.
연구팀은 반복적인 시제품 제작, 테스트를 수행해 실제 사용 가능한 모의 대화형 서비스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앱) 기반으로 서비스를 구현해 시험에도 나섰다. 29명 운전자를 대상으로 1388회 상호작용 및 센서 데이터를 구축했고, 테스트 수행 결과 87% 대화 서비스 시점 검출 정확도를 확인했다.
이 기술은 대화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바로 적용 가능하다. 운전 부주의 실시간 진단과 중재에도 활용 가능하다.
이의진 교수는 “앞으로 차량 서비스는 더욱 능동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로 거듭날 것”이라며 “자동차 기본 센서 데이터로 최적 개입 시점을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