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교육 첫 걸음 '공간혁신']<1>정부·지자체, 공간혁신 통합 사업으로

Photo Image
지난 5일 열린 공간혁신추진단 회의. 사진=교육부

정부가 안전·미래학교·무한상상실 등 개별적으로 추진하던 공간혁신 사업을 내년부터 통합 실시한다. 학교는 상황에 맞게 필요한 공간혁신 사업을 기획하고 설계해 추진할 수 있다.

교육부는 올 상반기에 학교공간혁신 총괄기획가 제도를 도입하고 학교와 시공자 연결 역할을 하는 학교공간혁신촉진자(퍼실리테이터)를 두도록 했다.

총괄기획가는 공간혁신 사업 운영과 정책발굴, 제도개선 사항 건의 등 전반을 이끌어 간다. 퍼실리테이터는 교육과정 운영이 시공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제반 과정을 조정하고 미래형 혁신학교, 공간수업 프로젝트 등 교육부 사업 통합을 돕는다.

교육부는 학교 내부 공간을 재구조화하는 영역단위 사업과 최소 동 단위 건물을 개조하는 학교단위 사업을 연내 선정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영역단위 사업은 내년부터는 여러 사업을 통합한 형태로 추진된다.

학교에 따라 석면·냉난방기 교체 등 시설 사업을 포함해 민주시민 교육 등도 공간혁신이라는 큰 틀에서 상황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내년에는 학교 단위 사업도 본격 실시된다. 학교단위 사업은 최소 동 단위 규모로 대규모 공사가 이뤄진다. 총 예산은 설계비와 공사비를 합친 6000억원이다. 지자체까지 참여해 규모가 커진다. 크기에 따라 큰 공사가 필요한 곳은 500억원 정도가 한 학교에 투입된다. 연말까지 크고 작은 사업 40여개가 선정될 예정이다.

시도에서 우선 순위를 정하고 검토위원회 자문을 거쳐 결정된다. 내년 사업을 통해 향후 전국적으로 확산될 사업의 모델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같은 사업을 포함해 학교 시설 개선을 위해 투입되는 자금은 전국적으로 3조원가량이다. 대부분이 지방비로 집행된다. 교육부는 학교공간혁신추진단을 꾸려 중장기 정책을 수립하고 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다.

교육부는 미래교육에 적합한 교육환경 모델도 수립한다. 국립부설학교를 대상으로 다양한 교육과정 운영이 가능한 학생 중심 미래형 학교공간혁신 사업을 신규로추진한다. 창의적 사고와 협동·소통 역량을 기를 수 있는 소프트웨어(SW) 교육 공간혁신 모델학교도 6곳 운영한다.


문보경 정책 전문기자 okmu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