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력을 끄는 공약이 보이지 않습니다. 새로운 기업을 유치하고 스타트업을 키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작 지역 경제를 살리고 일자리를 창출해 낼 수 있는 곳은 이미 그 지역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토착 기업입니다.”
최근 만난 기업 대표들이 6·13 지방선거를 바라보는 시각이다. 지자체장 후보자 공약(公約)을 성토하는 분위기다. 대체 어떤 후보를 뽑아야 사업에 도움이 될지 모르겠다는 것이다.
지방선거를 앞두고 후보별 공약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기업하기 좋은 지역을 만들어서 지역 경제를 살리겠다는 후보가 많다. 기업이 서야 일자리를 창출하고 세수를 늘릴 수 있으니 매번 선거 때마다 빠지지 않는 공약이다.
충남지사에 출마한 한 후보는 이전 기업 세제 혜택 강화를 약속했다. 또 다른 후보는 12년 후 지역 GDP 10만달러, 인구 300만명 유치, 일자리 50만개 창출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대전 지역에서는 과학기술 스타트업 기업 1000개 육성 및 유니콘 기업 양성, 대규모 산업단지와 특화단지 개발, 대덕연구개발특구 재정비 등이 주요 공약으로 제시됐다.
대부분 그동안 나왔거나 전에 추진하던 사업과 유사하다. 일부는 한눈에도 임기 내 실현 불가능 공약(空約)으로 보인다. 기업인이 “별로 새로울 것이 없다”는 반응을 보이는 이유다.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우선 지역 기업이 튼튼하게 뿌리를 내릴 수 있어야 한다. 창업을 유도하고 외부 기업을 끌어들이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다.
지역 기업은 “인력을 채용하고 싶어도 일하겠다는 젊은이가 없다”고 하소연할 정도로 일자리 미스매치 현상이 심각하다. 제대로 자리 잡은 기업이 적기 때문이다. 일자리를 늘리려면 청년이 안심하고 일할 수 있는 기업부터 늘려야 한다.
지역으로 내려갈수록 중소기업 '동맥경화' 현상이 심하니 자금 흐름을 원활하게 뚫어 달라는 요구도 많다. 지역 기업은 물론 선거전에 뛰어든 후보자에게 뼈가 되고 살이 되어 줄 이야기다.
충청=강우성기자 kws9240@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