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활용 시대 열린다...정부, 뇌, 과학·산업화 투자 확대

Photo Image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오른쪽)은 8일 '제30회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를 주재했다.

정부가 오는 2027년까지 매출 1000억원 이상 '뇌 기업'을 10개 넘게 육성한다. 뇌 기작 원리를 접목한 인공지능(AI), 뇌·기계 인터페이스(BMI)를 개발하고 신경자극·조절용 인체삽입 전자약 등 뇌질한 치료 투자를 확대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8일 제30회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를 개최하고 '뇌연구혁신 2030(3차 뇌연구촉진기본계획, 2018~2027년)'을 심의·의결했다. 뇌연구혁신 2030은 뇌연구촉진법에 의거해 관련 부처 계획을 종합·조정한 뇌 연구 분야 최상위 법정계획이다.

'바이오경제 2025'의 부문별 시행계획으로 지난 1년간 50여명의 전문가와 함께 현장의 의견을 수렴했다.

과기정통부는 '뇌 이해 고도화와 뇌 활용 시대의 진입'을 비전으로 6대 중점 과제를 설정했다. △기술·창업 중심의 대통기 뇌산업 육성 △뇌 근원적 이해 △생애주기별 맞춤형 건강 뇌 실현 △뇌원리 활용, 융합·지능화 기술 개발 △뇌 연구 통한 사회·문화행동 이해 △공유·융합 촉진 위한 뇌 연구 생태계 구축이다.

정부는 미국 중소기업혁신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해 3단계에 걸쳐 중소·벤처기업의 사업화를 지원한다. 뇌 관련 산업에서 매출 1000억원대 기업을 10개 이상 육성하는 것이 목표다.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뇌작동 원리, 뇌질환기전 관련 기초 연구를 강화한다. 특화 뇌지도를 구축하고 경쟁형 연구개발(R&D)을 통해 글로벌 최초 지향 원천기술을 개발한다. 과학기술을 통해 치매극복을 추진하고 우울증, 중독, 자폐 등 뇌질환 관련 투자를 확대한다.

AI를 활용해 뇌 원리를 규명하고 이를 활용해 차세대 AI, 뇌·기계 인터페이스(BMI), 뉴로모픽칩 등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반인 지능화 기술을 개발한다. ICT·로봇·뇌 융합으로 신경자극·조절용 인체삽입 전자약 등 신개념 뇌질환 치료기술도 연구한다.

뇌과학 기술 발전으로 발생할 수 있는 법·윤리적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뇌신경윤리위원회'를 설치하고 뇌조직 분양 허용 등 규제개선을 추진한다. 뇌지도 데이터베이스(DB), 뇌연구 정보 등을 집적해 각 계가 공동 활용하는 '코리아브레인스테이션'을 구축한다.

최근 차세대 AI 등 뇌작동 원리를 타 분야에 적용한 제품과 기업 등장이 가속화하면서 글로벌 뇌 관련 시장도 확대되고 있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2014년 뇌의약품 시장은 170조원 규모다. 뉴로모듈레이션은 2020년 7조9000억원, AI는 2022년 107조원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내다봤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뇌연구 예산을 3배로 확대했지만 광유전학, 뇌 오가노이드, 인지증강, 뇌자극〃활성측정기술 등 유망 11개 기술수준은 글로벌 최고 수준 대비 77% 수준에 머물고 있다.

유영민 과기정통부 장관은 “뇌는 인체무게의 2.5%에 불과하지만 에너지의 20%를 독식하듯 인체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을 볼 때 국가 차원에서 챙겨야 할 중요한 분야”라면서 “뇌 원리를 파악한다면 치매 같은 뇌질환을 극복할 수 있고, 4차 산업혁명이라는 큰 물결에 대응할 수 있다”고 말했다.

유 장관은 “뇌를 타 기술·산업과 융합한다면 새로운 거대한 시장이 태동할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이번 계획을 관계부처와 협력하여 꼼꼼히 실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표 3차 뇌연구촉진기본계획 비전 및 중점과제

뇌 활용 시대 열린다...정부, 뇌, 과학·산업화 투자 확대

최호 산업정책부기자 snoop@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