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AI 응용 모델 확산, 정부 지원 절실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가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활용해 주식 시장 불공정 거래를 잡는 차세대 시장감시시스템을 7월 본격 가동한다. 새 시스템은 기존 1개월 이상 소요되던 불공정 거래 신규 적출 시간을 1주일로 줄일 수 있다. 신종 불공정 거래 유형을 탐색·적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순히 통계 분석을 통해 불공정 행위를 적출하는 것에서 진일보, 불공정 거래 행위를 예측하는 형태로 거래소 시장 감시 방식을 바꿀 수 있게 됐다. 자율 규제에 AI가 적용되는 첫 사례다. 이른바 '레그테크'가 제대로 적용된 것이다. 레그테크는 규제(Regulation)와 기술(Tech)을 합성한 신조어다.

우리 경제·사회 곳곳에 AI와 빅데이터를 적용하면 업무를 고도화·활성화할 수 있는 분야가 널려 있다. 레그테크는 아주 작은 일부분일 뿐이다. 우리와 산업 발전 형태는 비슷하지만 보수 성향이 짙은 일본도 최근 정부 차원에서 빅데이터 개방과 AI 적용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데이터 관리·활용 포털사이트 개설도 추진, 공공뿐만 아니라 민간 데이터도 집대성한다. 다행히 우리도 4차산업혁명위원회를 중심으로 빅데이터 활용의 필요성이 논의되면서 빅데이터 및 AI 활용 프로젝트가 만들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은 미약하다.

AI에는 원천 기술이라고 할 만한 것이 없다. 오래전부터 있어 온 기술이다. 그 기술이 현재의 컴퓨팅 파워(클라우드 포함)와 빅데이터를 만나 새로운 응용 분야로 확대된 것이다. 지금은 AI 기술 고도화보다 AI 응용 사례 확산이 중요한 때다. 융합 서비스와 비즈니스 모델 발굴이 국가 경쟁력으로 이어진다.

AI 응용 분야는 무궁무진하다. 이번 차세대 시장감시시스템처럼 성공 모델을 한 번 구축하면 그와 비슷한 분야 전반으로 자연스럽게 도입이 확대된다. 그 과정에서 축적한 노하우는 주요 자산이자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하는 기반이 된다. 정부는 AI와 빅데이터 응용 분야 활성화를 위해 과감한 규제 개선에 나서야 한다. 민간 노력에 정부 협력이 보태지는 형태가 아니면 규제 벽에 갇혀 앞으로 나아가기 어렵기 때문이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