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 셀트리온 등 수출 `대박`을 터트린 의약품 기업이 등장하면서 관련 시장도 창조경제를 구현할 미래 먹거리 분야로 떠올랐다. 2027년까지 4대 중증질환 신약 후보물질 100개 이상 확보, 글로벌 제약사 5개 이상 육성이라는 야심찬 계획까지 발표됐다.
국가 프로젝트로 진행되는 바이오신약분야는 크게 개발 단계부터 산·학·연이 뭉쳐 공동 연구를 진행하는 오픈이노베이션(Open Innovation) 전략과 글로벌 진출을 중심으로 추진된다. 현재 국내 35개 제약사가 개발 중인 파이프라인은 총 255개다. 초기단계 파이프라인은 33%인 85개에 불과하다. 3~5년 후에는 신약 파이프라인이 고갈될 가능성이 높다. 신약 후보물질 확보를 위해 산·학·연이 참여하는 연구개발 플랫폼을 구축한다. 의약품 성능 개선, 가치 재창출 기술 등 다양한 시스템을 개발해 공유하는 장을 마련한다.
국내 중견 제약기업과 대기업의 글로벌 도약을 위한 제도와 인프라를 종합 패키지로 지원한다. 연구자 임상제도 인정범위를 확대하고, 혁신형 제약기업 지정, 신약 약가 우대, 기업 R&D 지원을 확대한다. 제약산업 육성 펀드와 바이오 기업 육성 펀드를 운영한다.
이를 바탕으로 2023년까지 신약 후보물질 50개 이상, 글로벌 선도 신약 플랫폼 기술 3개 이상 확보한다. 2027년에는 신약후보물질과 글로벌 신약을 각각 100개, 3개로 확보한다. 매출 1조원 기업도 5개로 늘린다.
신약개발이 정부 목표를 달성할 경우 현재 세계 시장 점유율 0.1%(약 5000억원) 수준인 의약품 수출 규모를 2025년에는 5%(약 5조원)까지 확대할 것으로 기대된다. 4대 중증질환 치료에 한걸음 다가서며 보험재정 건전화, 경제 생산성 증가 등 사회경제적 효과도 얻을 수 있다.
글로벌 제약사와 기술 격차를 고려, 무리한 목표 설정은 오히려 산업 육성에 `독`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정부가 밝힌 4대 중증질환 신약 개발도 중요하지만, 우리 기업이 특화할 수 있는 영역을 집중 육성할 필요도 있다는 지적이다. 유전자 치료제, 줄기세포 치료제 등 첨단바이오의약품 신약 개발에 대한 투자 내용도 빠졌다. 두 분야는 글로벌 기업과 우리 기업 기술 격차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시장 주도권을 확보할 기회가 많다.
정용철 의료/SW 전문기자 jungy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