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른 비대면 인증 서비스 제공보다는 해킹과 정보 유출 대비책을 사전에 확보해 안정성이 검증된 서비스를 운영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김정혁 한국은행 전자금융팀장은 `비대면 인증 동향과 개선과제`라는 보고서를 통해 비대면 인증의 정보 유출 대비책을 확보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밝혔다.
또한 정부 주도 인증 체계 구축보다는 금융사 자율 인증체계로 전환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비대면 인증 활성화를 위해 금융사 비대면인증 전담직원 확대와 고객 정보보호 수준 강화가 시급하다고 밝혔다.
김 팀장은 “비대면 인증 이용자 스스로 개인정보 관리와 정보보호 제고 노력이 필요하다”며 “휴대폰 번호, 주소 변경 시 금융회사에 즉각 통보하고 신용정보 조회중지 서비스 신청 등으로 유출 피해를 예방해야 한다”고 말했다. IT보안과 스마트금융을 잘 이해하는 비대면 전담인력 교육 도입과 육성방안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정부 주도 인증체계도 전환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그는 “금융사 자율 인증체계 확산이 중요하다”며 “바이오 인증 자율성 보장과 인증 기술의 국제 표준화 추진, 금융권 과다 비용 투자와 이해관계를 중재하는데 힘을 모아야 한다”고 밝혔다.
국내 서비스된 비대면 인증에 대해서는 △개설 계좌의 이용한도 제약 △이용자의 번거로운 비대면 인증 과정 △시간과 장소의 제약 △비대면 인증 전담 지원 체계 부족 △스마트폰에서 생체인증 방식 지원 한계 △보안사고 안전대책 미비 등 과제가 남아있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생체인증을 활성화하고 표준안 제정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바이오정보를 금융사 서버에 독자적으로 구축하면 정보유출 위험 부담이 증가하기 때문에 바이오인증 분산관리 표준안 제정과 인증센터를 조기 구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팀장은 “비대면 금융거래의 핵심은 인증”이라며 “비대면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충분한 사전준비가 먼저”라고 강조했다.
사진=
길재식 금융산업 전문기자 osolgil@etnews.com
박지호기자 jihopres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