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연구진 별 탄생 비밀에 한발짝 더...

Photo Image
대마젤란은하 내 북동쪽영역의 두 지역에 대한 근적외선 편광벡터들의 분포를 나타낸다. 굵은 선을 따라 자기장과 먼지입자가 형성돼 있다.

별의 탄생 비밀에 한발짝 더 다가가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우주천문그룹(그룹장 정응섭) 연구진이 경희대와 일본 도쿄대, 나고야대학과 공동으로 대마젤란은하 내 2000여개 별의 먼지입자와 자기장 간 연관성을 처음 밝혀냈다고 18일 밝혔다.

이 연구에는 남아프리카공화국에 있는 1.4m 적외선 망원경 ‘IRSF’가 이용됐다. ‘IRSF’는 적외선 영상 카메라가 부착된 나고야대 소유 지상 망원경이다.

Photo Image
적외선 관측으로 얻은 3색 필터 영상과 근적외선 편광목록에서 얻은 편광 분포를 보여준다.

연구팀은 마젤란은하 내 2000여개 별을 대상으로 근적외선 편광 목록을 작성했다.

편광은 천체에서 방출된 빛이 통과하는 지역 특성에 따라 전자기파가 특정한 방향성(선형, 원형, 또는 타원형)을 가지며 전파되는 현상이다.

이를 통해 먼지입자와 자기장이 거대구조 속에서 일정한 방향을 갖는다는 것을 구명했다.

먼지입자는 별이 만들어지는 초기 물질이다. 먼지입자가 자기장 방향에 따라 거대한 구조를 이룬다는 것이 이번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거대 구조 내 편광 패턴은 크기가 대략 330광년이다. 자기장 세기는 지구 표면 자기장의 수분만의 1 정도였다. 지구 자기장은 0.5G(가우스)다.

연구팀은 향후 과학기술위성 3호 주탑재체인 다목적적외선 영상관측시스템(MIRIS: Multi-purose InfraRed Imaging System)을 이용한 편광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 연구결과는 천문학 분야 국제학술지‘천체물리학 저널 증보’1월 8일자에 게재됐다.

연구 참여자는 김재영 연구원(제 1저자, 경희대 박사과정)과 정웅섭 그룹장(제 2저자 및 교신저자), 박수종 경희대 교수(공저자), 박원기 연구원(공저자, 천문연), 타무라 모토히데 연구원(공저자, 일본 도쿄대) 등이다.

정응섭 우주천문그룹장은 “은하 내 자기장 구조를 밝히고 천체물리학적 현상을 이해하는데 활용될 것”이라며 “크게는 별 탄생의 근원을 밝히는 데 미력하나마 한걸음 다가간 것으로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대전=박희범 과학기술 전문기자 hbpark@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