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국제 반도체공학 표준 협의기구인 JEDEC이 공개한 바에 따르면 SSD 데이터 보존 능력에 대한 프레젠테이션 자료 속에 SSD의 데이터 유지 능력과 기온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다는 데이터가 있었다. 그 탓에 SSD를 고온에서 방치하면 데이터가 불과 며칠이면 사라져버릴 수 있다는 보도가 나온 바 있다. 실제로 그럴까.

JEDEC가 공개한 자료는 SSD의 데이터 보존 능력 기준에 대한 것을 정리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일반 사용자용 SSD는 30도 환경에서 하루 동안 평균 8시간 쓸 경우 SSD를 설치한 환경 온도는 40도라는 조건 하에서 1년 동안 데이터 유실 없이 유지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다시 말해 일반 사용 조건에선 전원을 끈 뒤 1년 동안은 데이터를 잃을 걱정은 없다는 것.
데이터를 보면 표에서 왼쪽은 기온(전원을 끈 상태), 아래쪽은 SSD 주위 온도를 나타낸다. 이 환경에서의 데이터 유지 기간을 주 단위로 수치화한 것. 예를 들어 기온이 30도인 상태에서 사용하면 SSD 주위 온도가 40도라면 52주 동안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다는 얘기다.
사실 PC가 대부분 냉각 시스템을 이용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표에서 SSD 주위 환경 온도가 실온 이상인 부분만 참고하는 게 좋다(회색을 제외한 흰색). 여기에 기온이 45도 이상인 부분도 무시하는 게 좋다.
또 SSD는 아직까지 하드디스크나 테이프보다 용량대비 가격이 높다. 그 탓에 주로 시스템용 저장장치로 이용되며 데이터 저장용으로 쓰이는 일은 적다. 따라서 데이터 저장용으로 장기간 전원을 일체 켜지 않을 상태로 SSD를 놔둘 일은 거의 없는 만큼 전원을 끈 상태에서 SSD의 데이터가 사라질 걱정은 할 필요가 없다고 할 수 있다.
전자신문인터넷 테크홀릭팀
이상우기자 techholi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