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미디어가 정치권을 뒤흔들고 있다. 정당과 의회에 중심을 둔 대의민주주의(representative democracy)에 한계를 느낀 유권자들이 트위터,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기반으로 정책 비판은 물론이고 정치 참여, 나아가 새로운 정치세력화까지 시도하는 모양새다.
일명 ‘SNS 정치’로 불리는 최근의 현상은 IT 흡수력과 활용도가 높은 20~40대가 주역이다. 미국에서는 오바마 대통령이 2008년 대선과 2010년 중간선거에 소셜미디어를 활용하면서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해 6·2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시작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번 10·26 재보궐선거를 계기로 그 파괴력이 입증됐다.
그러나 SNS 정치는 지속성과 추진력을 갖기 어렵고 자칫 잘못하면 여론을 잘못된 방향으로 이끌어 크나큰 사회적 비용을 치를 수 있다는 점에서 양날의 칼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평가다.
◇문형남 숙명여자대학교 정책·산업대학원 교수 ebiztop@sookmyung.ac.kr
스마트폰 가입자 증가와 모바일 인터넷 활성화로 소셜네트워크 기반 인터넷 서비스가 급성장해 정치, 경제, 사회 전 분야에서 혁신과 변화가 이뤄지고 있다.
소셜미디어는 한마디로 사람들이 의견과 생각, 경험, 관점 등을 서로 공유하기 위해 사용하는 온라인 툴과 플랫폼이다. 기업은 물론이고 정부도 행정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정책 과정에 시민을 참여시키는 방편으로 활용한다. 정치권에서도 유권자들과의 소통, 정치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 다각도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최근 서울시장 후보의 SNS 활용과 모바일 경쟁력 평가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지 10월 21일자 2면, 22면 참조
정치인들이 SNS를 활용할 때에는 우선적으로 여러 종류의 서비스 중 어디에 집중할 것인지, 아니면 다양한 매체에 분산할 것인지를 판단해야 한다. 참모진과 공유할 수 있는 SNS 활용 가이드라인도 만들어 놓아야 하며 실수를 했거나 위기 상황이 발생했을 때 대응 매뉴얼도 필요하다. 모바일 웹을 만들 때는 이용자 편의를 위해 표준을 지켜야 한다. 하지만 서울시장 후보의 경우 준수율이 0~2%대로 매우 낮았다. 모바일 앱을 구축할지도 미리 정해야 한다.
SNS는 잘 활용되면 좋은 약이 될 수 있지만 잘못 쓰면 독이 될 수도 있다. 이집트, 튀니지 등 중동에서 민주화와 사회변혁을 촉발하는 데 SNS는 긍정적이고 위대한 힘을 발휘했다. 그러나 잘못하면 ‘소셜미디어 재앙(social media disaster)’을 초래할 수 있다. 설익은 견해나 판단이 순식간에 퍼져서 재앙이 될 수도 있는 위험 요인이 항상 잠재돼 있다.
◇정치인들에게 제안하는 SNS와 모바일 활용 10계명 (문형남 숙명여대 교수)
1. 각 서비스를 이해하고, SNS와 모바일 활용 전략을 수립하라.
2. SNS와 모바일 사용 기본 원칙과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지켜라.
3. 실수 및 위기 대응 방안을 마련해 놓아라.
4. 공론화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둬라. (‘일파만파’ 주의)
5. 일방적인 정보 제공보다는 상호작용(소통)에 주력하라.
6. 가볍게 얘기하지 말고 신중하게 책임감을 가져라.
7. 기밀을 누설하지 말고 개인정보와 사생활 보호를 명심하라.
8. 상대방과 이해관계자들을 존중하라.
9. 감성적으로 따듯하게 다가가라.
10. 비방하지 말고 칭찬하라.
◇이지수 명지대학교 정치학과 교수 jisue@mju.ac.kr
정치가 분명 달라지고 있다. SNS는 새로운 정치 문화를 형성해줬을 뿐만 아니라 집단행위 가능성을 열어 놓았다. 기존 정치권이 면대면(face to face)에 집중했다면 SNS 정치는 상상할 수도 없는 속도와 파괴력으로 확산된다.
SNS는 현 한국정치에 플러스와 마이너스 요인을 모두 갖고 있다. 기성 정치인이 활용만 잘한다면 보다 손쉽게 여론을 모으고 정책을 확산할 수 있다. 국민 반응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반면에 막대한 사회적 비용이 들 수 있다는 점이 큰 단점이다.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려면 투입(input)과 결과(output)를 고려할 수밖에 없다. 정부와 국회는 수십년간의 과정에서 일정한 룰과 예측치를 갖고 있다. 그러나 SNS 정치에서는 그를 가늠할 수가 없다.
한미 FTA 반대 촛불집회를 예로 들어보자. 2008년 그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과 SNS로 결집해 광장으로 나왔지만 원하던 목적을 얻지 못했다. 4대강 사업도 마찬가지다. 정부의 정책 결정을 뒤집거나 중단시키지 못한 것이다. 과도한 소비와 정력이 집중됐지만 결과물을 얻지 못했다고 볼 수 있다.
전문가들이 아닌 만큼 정교한 정책수립이나 집행을 이끌어내기도 어렵다. SNS 정치는 물론이고 직접 정치는 그 점에서 비효율적일 수 있다. 정당 정치가 한계가 있지만 여전히 우리의 과제는 정당에 비용과 시간과 노력을 투입해야 하고 SNS 역시 그 부분에서 보완하는 도구가 되는 것이 마땅하다고 본다.
경제 많이 본 뉴스
-
1
애플페이, 국내 교통카드 연동 '좌초'…수수료 협상이 관건
-
2
단독CS, 서울지점 결국 '해산'...한국서 발 뺀다
-
3
'코인 예치' 스테이킹 시장 뜬다…386조 '훌쩍'
-
4
[이슈플러스] '실손보험 개혁안' 두고 의료계 vs 보험업계 평행선
-
5
빗썸 KB행 신호탄…가상자산 거래소 실명계좌 '지각변동' 예고
-
6
[이슈플러스] 1·2세대 실손도 '위험'…법 개정해 기존 계약까지 뒤집는다
-
7
은행 사활건 기업·소호대출, 디지털뱅킹 전면 부상
-
8
새해 첫 자금조달 물꼬튼 카드업계…“금리인하기, 내실부터”
-
9
'금융사기 뿌리 뽑자' 은행권 보안 솔루션 고도화 움직임
-
10
생명보험업계, 30년 만에 '데이터 체계' 대개편...손보와 격돌 예고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