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헤지펀드, 단기 급성장 어렵다"

다음 달 출범 예정인 한국형 헤지펀드가 당장 큰 성장세를 보이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LG경제연구원 문병순 선임연구원은 25일 `한국형 헤지펀드의 조심스러운 첫걸음` 보고서에서 "한국형 헤지펀드는 개인 최소투자한도가 5억원으로 상당히 높아 자금이 쉽게 이동하기는 어려워보인다"며 이같이 밝혔다.

한국형 헤지펀드는 지난 9월27일 자본시장법 시행령이 개정되면서 우리나라에서 허용됐으며 다음 달 시행령의 하위규정인 금융투자업규정이 시행되면 출범할 예정이다.

한국형 헤지펀드는 일반인의 최소투자한도를 5억원으로 정하고 있으며 차입비율을 400% 이내로 제한하고 헤지펀드의 등록의무와 파생상품내역 보고 의무를 부과하는 등 일반적인 해외 헤지펀드와 차이가 있다.

이러한 진입 장벽은 금융불안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지만, 개인 투자자들이 자금 이동을 꺼려 헤지펀드의 성장에는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게 문 연구원의 지적이다.

그는 "고수익을 추구하는 주가연계증권(ELS)과 파생결합증권시장의 개인투자자 자금 또는 랩어카운트 시장에서의 자금이 이동할 가능성이 있지만, 규제 때문에 많은 자금이 이동하기는 힘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 연구원은 또 연기금이 헤지펀드에 투자할 수도 있으나 적극적으로 나서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국민연금은 대체투자 비율을 2011년 7.8%에서 2012년 9.2%로 늘린다는 입장이어서 헤지펀드에 투자할 여력이 어느 정도 있지만, 앞서 사모펀드(PEF)에 소극적이었던 자세를 비춰볼 때 대규모 투자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또 "금융기관 투자 실패 시 개인적인 비리가 없어도 엄격한 법적 책임이 부과된다는 점도 투자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덧붙였다.

문 연구원은 그러나 "한국형 헤지펀드는 금융시장의 유동성을 어느 정도 늘리는 등 자산운용업계와 증권업계, 비우량 회사채 시장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며 "장기적으로 헤지펀드가 안정적인 수익을 실현하고 정부가 규제를 완화한다면 헤지펀드 시장이 더욱 빨리 성장할 수 있다"라고 조언했다.

[연합뉴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