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중소기업들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자금지원을 가장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정부 재정 지원 확대뿐만 아니라 콘텐츠 공제조합 설립과 콘텐츠 특례보증 도입 등 제도적 보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와 중소기업중앙회는 24일 중앙회에서 ‘콘텐츠 중소기업 희망정책포럼’을 개최했다. 포럼에서 발표자들은 국내 콘텐츠 중소기업 10곳 중 9곳 정도가 매출 10억원 미만 영세한 기업이라며, 다양한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박해철 중기중앙회 대외협력본부장은 “콘텐츠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47.6%가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60.1%가 정부 자금지원을 원했다”며 “하지만 정부의 콘텐츠 산업 지원예산은 올해 총 6004억원으로 영국 6조2000억원(2009년 기준) 등 선진국에 비해 턱없이 적다”고 지적했다.
박 본부장은 정부의 직접지원과 함께 금융기관 등을 통한 간접적인 재정지원이 함께 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콘텐츠 특례보증과 콘텐츠 공제조합 설립도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특례보증은 신보와 기보 등을 통해 무담보로 대출을 해주고, 채무변제가 제대로 되지 않았을 때 정부가 일정비율을 보상하는 제도다.
이인숙 한국콘텐츠진흥원 글로벌사업본부장은 “콘텐츠 기업 88%가 매출 10억원 미만일 정도로 영세하다”며 “담보력이 취약해 금융기관 이용이 어렵기 때문에 콘텐츠 개발과 유통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본부장은 “콘텐츠 중소기업의 원활한 자금조달 지원을 위해 콘텐츠 공제조합 설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도 참석자들은 정부의 콘텐츠 관련 예산 확대 등 직접적인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포럼에 참석한 전재희 문방위원장 등 국회와 정부 관계자들은 국회에 상정돼 있는 콘텐츠 공제조합 설립을 위한 ‘콘텐츠산업 진흥법 개정(안)’ 처리를 위해 힘쓰겠다고 밝혔다.
이날 포럼에는 박희태 국회의장, 전재희 문방위원장, 최광식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이주영 한나라당 정책위 의장, 정장선 민주당 사무총장 등 국회와 정부 관계자들은 물론 출판, 영화, 애니메이션, 방송, 게임, 캐릭터, 공연 등 콘텐츠관련 중소기업인 300여명이 참석했다.
<표>콘텐츠 중소기업 경영 애로 현황
자료:중소기업중앙회
권건호기자 wingh1@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