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의 대중화, 생활화로 일컬어지는 과학문화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선진국은 과학기술문화 중요성에 눈뜨고 이미 수십 년 전부터 정부 차원의 다양한 정책을 마련하고 관련 프로그램 예산을 확대해 왔다.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은 1984년부터 ‘학교 밖 과학교육’을, 독일 연방교육연구부(BMBF)는 2000년부터 ‘대화하는 과학’ 프로그램을 추진 중이다. 일본은 대국민 과학기술 이해증진 사업 예산을 계속 늘리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0년대 들어 국가 과학기술기본계획에 ‘과학기술문화’를 독립적인 부문으로 설정, 격상했다.
과학기술문화 확산의 일환으로 과학관 확충과 과학행사 내실화, 연령·계층별 콘텐츠 확충, 과학기술자 및 민간단체 참여 활성화,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시민참여 촉진, 과학기술문화의 인적·물적·학술적 기반의 강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과학기술이 소수 전문가의 독점적 소유물이 아닌 대중화, 생활화할 때 폭넓게 발전한다는 판단 때문에 이같은 정책은 매우 중요하다. 과학기술이 문화와 접목돼 생활 속에 자리 잡으면 사회도 그만 큼 풍요로워지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어느 정도나 생활화됐고, 과학기술문화가 얼마나 성숙해졌는지는 아직 의문이다.
과학기술문화 확산 정책의 핵심 중 하나인 청소년 과학기술 교육 강화와 창의성을 길러주기 위한 프로그램이 늘고 있지만 입시 위주의 교육 울타리에 갇혀 여가활동 수준을 넘지 못하고 있다.
일반 시민의 과학기술문화에 대한 관심과 참여는 여전히 과학축제나 과학관 관람 선에 그친다. 관심과 참여의 궁극적 목표인 에너지 절감 운동과 같은 폭넓은 확대로 이어지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과학기술문화 확산은 시민이나 청소년 등 과학기술문화 수요자 참여가 핵심이다. 참여를 유도하려면 ‘재미’나 ‘이익’ 등 메리트가 있거나 ‘필요성에 공감’할 수 있는 법적 제도적 장치가 함께 수반돼야 한다.
과학을 잘 아는 과학기술계부터 자진해 나서보자. 작은 힘들이 모일때 큰 산도 쉽게 움직일수 있을 것이다.
부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