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프앤가이드 분석 결과…정보 누설 의혹 `물씬`
증권사들이 종목 분석을 하면서 목표 주가를 조정하면 실제 주가는 대부분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분석 보고서 발표 전에 주가가 치솟다가 막상 목표치를 올리고서 주가가 내려가는 `기현상`이 빈번한 것은 사전 정보 유출 때문이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20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7~9월 국내 증권사가 유가증권 및 코스닥 상장사에 대해 목표주가를 높인 235건(중복 포함) 중 10거래일 뒤 주가가 내린 사례는 63%(148건)에 달했다.
목표주가 상향 조정 이후 주가가 오른 것은 37%(87건)에 그쳤다. 목표가를 조정한 지 10거래일 이후 평균 수익률은 -4.14%였다. 증권사가 장밋빛 미래를 제시했음에도 주가는 되레 급락한 셈이다.
목표주가 인상 전 수익률은 오히려 양호했다. 상향 조정 10거래일 전과 조정 당일 주가를 비교했을 때 상승이 59%(138건), 변동 없거나 내린 사례는 41%(97건)였다. 이 기간 평균 수익률은 1.11%였다.
이번 조사 결과는 정보력이 상대적으로 뒤지는 개인 투자자들이 증권사의 보고서를 믿고 해당 종목을 샀다면 손해 봤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보여준다.
증권사들이 기업의 미래 가치를 밝게 평가했음에도 주가가 대부분 약세를 보인 것은 기업분석 때 보안규정을 제대로 지키지 않았기 때문으로 의심된다.
실제로 조사분석자료는 일괄적으로 발표해야 하는데도 미공개 정보를 외부로 빼돌려 선행매매에 활용토록 한 정황이 곳곳에서 발견된다.
한발 늦게 `뒷북` 보고서를 접하는 개미들이 주식거래에서 피해를 볼 수밖에 없는 불공정 구조가 고착화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김동순 중앙대 경영학부 교수는 "컴플라이언스(준법감시) 규정이 강화됐지만, 여전히 사전 유출 가능성은 있다. 자산운용사 펀드매니저 등과 증권사 애널리스트가 갑과 을의 관계니까 보고서를 쓰기 전에 정보가 흘러갈 수 있고 주가가 미리 움직일 개연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금융당국은 `불공정 거래` 동향을 주시하며 개선책 마련에 착수했다.
금융감독원 고위 관계자는 "미공개 정보 이용에 대한 근원적인 차단이 필요하다. 거래형태를 보면 사전에 정보를 받아서 불공정 거래를 했는지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다. 관련 의혹을 사전에 차단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금감원 관계자는 "증권업계에서 전반적으로 준법의지가 부족하다. 애널리스트만의 문제가 아니라 소속 증권사 등이 잘못된 관행을 함께 개선해야 한다. 현장 검사를 통해 불공정 사례를 철저히 파악해 엄벌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