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라인] 바닷바람 `그린레이스`

Photo Image

 몇 해 전 ‘조선은 한국’이라는 말이 크게 회자됐다. 한국 조선산업이 세계 선박 발주량 절반 이상을 따내며 1위에 우뚝 섰다는 말에서 비롯됐다. 국내 IT 대기업이 소니·노키아 등 세계적 기업을 제치고 반도체·휴대폰·정보가전 분야에서 세계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IT는 코리아’와 같은 모습이다. 다른 분야에서도 우리가 세계 최고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게 했다.

 제2의 조선산업이라고 일컬어지는 풍력산업 ‘그린레이스’가 한창이다.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고 청정 에너지원으로 친환경효과가 크다는 점이 알려지며 유럽을 중심으로 상업화를 앞당기려하고 있다. 풍력발전은 육상에서 해상으로 무게 중심을 옮기고 있다.

 풍력발전은 최근 5년간 연평균 성장률 30%로 급성장했다. 2015년까지 약 170조원, 누적설치 규모로는 513GW로 전망된다. 올해 국내 풍력발전 설치용량은 320㎿다. 시장 진입단계여서 성장잠재력이 높다.

 지식경제부는 지난 7월 해상풍력로드맵 발표를 갑자기 연기했다. 이유는 간단했다. 해상풍력추진단의 첫 작품이기도 했던 로드맵이 보여줄 것이 없었기 때문이다. 일정만 제시하고 있을 뿐 실증단지의 경제성, 시장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설치용량, 계통연계 문제가 명확하지 않았다. 특히 시범단지로 유력한 서남지역 해상에서 전력을 생산하더라도 전압이나 전류의 성질을 바꾸기 위한 변전소가 마땅치 않았다. 해저케이블을 육지로 연결해야 하는 설비효율성도 문제다.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한국전력의 적자폭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이는 국가 전력망 확충 없이 민간 해상풍력단지 조성이 불가능에 가깝다는 것을 상징한다.

 분명한 것은 해상풍력이 정부가 추구하는 저탄소 사회구축, 탈석유, 에너지 자립강화 등 녹색성장 국가 전략과 일치한다는 점이다. 풍력은 온실가스 감축에 효과가 높다. 2㎿급 풍력발전기 한대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소나무 숲(111만평)을 대체한다. 자동차 370대의 운행정지 효과도 있다. 고용창출(1㎿당 15명)은 덤이다.

 문제는 산업화다. 수출 산업으로 만들어 내려면 전략적 지원이 절실하다. 부품과 장비 국산화는 필수다. 입지·건설 관련 하위 법령 정비도 필요하다. 풍력발전기는 100톤을 초과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현행 도로교통법에는 40톤 초과차량은 교량 통과시 해당 지자체장 운행허가를 받아야 한다. 수송업체들은 이를 피하기 위해 밤에 몰래 수송하는 ‘어쩔 수 없는 불법’을 선택하고 있다.

 풍력발전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가들의 지혜를 빌리는 것도 좋다. 독일이 풍력산업 활성화를 위해 전문기구를 만들었던 것처럼 우리도 산학연을 중심하는 전문가그룹을 구축하는 것도 방법이다. 풍력발전업체도 언제까지 정부만을 쳐다보며 감이 떨어지기만을 기다려서는 안 된다. 고부가가치를 얻을 수 있는 기술개발에 매진해야 한다.


 김동석 그린데일리 부장 dskim@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