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마이크로 에너지 그리드(K-MEG)를 포함한 스마트그리드 사업이 산업 간 융합이나 기업 간 상호 협력 부족으로 홈네트워크와 u시티처럼 실패해서는 안 됩니다.”
김창섭 지식경제부 스마트그리드 PD는 13일 한국공학한림원 CEO조찬집담회 ‘스마트그리드 현황과 미래’라는 주제 발표에서 9·15정전사태에 따른 스마트그리드의 현실적인 방향을 제시했다.
김 PD는 “정전사태로 ‘안정적인 전기 공급이 가능할 것인가’와 ‘스마트그리드가 신성장 동력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해서 업계가 심각한 고민을 하고 있다는 게 사실이다”며 “스마트그리드가 계통신뢰도(정전방지) 문제를 해결할 대안이지만 점검해야 할 것이 많다”고 밝혔다.
그는 과거 홈네트워크나 U시티 산업 경험과 이번 정전 사태가 스마트그리드에 중요한 경험과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는 만큼 지금이 한국형 스마트그리드를 제대로 인식하고 방향을 명확해야한다고 강조했다.
김 PD는 “현재 송전탑 등 송배전시설만 봐도 전력계통 교란을 야기할 수 있는 요소들이 많아 원자력과 신재생에너지 계통을 개편·보강하는 전력망 고도화가 스마트그리드의 핵심기반”이라며 “연료선택권(원자력·신재생)과 전력신기술(전기차·전력저장기술·u시티) 사이 관계가 깨지면 (이번처럼) 사고가 발생하는 것인데 이 둘의 관계를 지능화·효율화 시키는 것이 스마트그리드다”고 말했다.
이에 “스마트그리드는 전력·발전사뿐 아니라 덩치 큰 통신·건설·IT 등과 융합하고 협력하며 함께 완성해 가는 것이 중요하다”며 “여기서 전력망은 변화하면 사고가 발생하고, 통신은 변화지 않으면 도태되는 산업적 특성을 감안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전력망 고도화는 마치 휴대폰을 스마트폰으로 교체하는 것과 같고, 스마트그리드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같이 다양한 비즈니스 사업을 구축할 수 있는 플랫폼”이라고 비유했다. 이는 향후 스마트그리드가 우리에게 가져다 줄 혜택이 무궁무진하다는 의미다.
김 PD는 “전기요금은 발전사나 한전의 인건비나 운영비에 준한 것이 아니라, 발전 수요관리 신재생 스마트그리드에 대한 투자가 돼야 한다”며 “전기요금 현실화가 계통신뢰도와 성장 동력화를 동시에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 열쇠인 만큼 선행돼야 한다”고 전했다.
박태준기자 gaiu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