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표를 앞둔 해상풍력 마스터플랜 내용을 두고 정부-업계 간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정부가 발표한 해상풍력 로드맵의 세부 내용을 담고 있는 마스터플랜이 이달 말께 공개된다. 한국전력 사장 선임 건 등으로 미뤄졌던 마스터플랜이 발표되면서 정부의 해상풍력 사업이 본격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는 한전과 발전자회사로 구성된 특수목적법인(SPC)이 평가를 거쳐 사업 참여업체의 풍력발전기를 인수하는 내용이 포함될 전망이다. 우선 풍력발전시스템·건설 업체들이 자체 투자해 해상에 제품을 설치·운영한 후 평가가 좋은 경우에 한해 인수를 하는 식이다.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한 업체는 제품 인수 대상에서 제외되는 것은 물론이고 다음 단계 사업 진행에도 차질을 빚게 될 전망이다.
정부는 2019년까지 3단계로 나눠 총 2.5GW급 해상풍력발전단지를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2014년까지 전라남도 부안·영광 해상에 총 80㎿급 실증단지를 건설하고 2016년까지 500㎿급 시범단지로 확대한 후, 2019년 단지를 완성한다는 목표다.
정부는 업계에 일단 공평하게 기회를 주고 선별하는 방식에 별다른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관련 전문가들도 업계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라도 이 같은 과정은 불가피하다는 반응이다.
하지만 업계는 “위험부담이 크다”며 반발하고 있다. 정부가 제시하는 기준에 미달해 풍력발전기 인수가 안 될 경우 부담이 크다는 주장이다. 특히 자금이 충분하지 않은 중소업체에는 큰 타격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바다 하부구조물 설치를 담당하는 건설업체는 별다른 이점이 없다고 호소하고 있다. 설치 대상만 풍력발전기로 바뀐 것일 뿐, 구조물 기술 자체는 이미 특별한 게 아니기 때문에 트랙레코드(실적) 축적면에서도 큰 매력이 없다는 설명이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만약 평가결과가 좋지 않아 제품이 인수 대상에 포함되지 않으면 별다른 소득 없이 투자를 하게되는 꼴”이라며 “정부 지원이 기대에 못 미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유선일기자 ysi@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