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우수대학도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기초과학연구원 산하 연구단에 참여하는 방안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6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기초과학연구원 설립과 운영에 대한 정책포럼’에서 김명환 서울대 자연과학대학장은 “기초과학연구원 연구단이 과학기술특성대학 중심으로 구성되는 것은 연구 수월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며 “과학기술특화대학 소재지가 아닌 지역의 대학과 연구소는 우수역량을 갖췄음에도 엄청난 차별을 받게 됐다”고 지적했다.
정부 안에 따르면 기초과학연구원 소속 연구단은 거점지구인 대덕단지와 광주, 경북권(대구·울산 포함)에 집중적으로 들어선다. 연구단 수는 대덕단지에 약 25개(본원 15개+KAIST 10개), 경북권의 DUP(DGIST·UNIST·POSTECH) 캠퍼스에 약 10개, 광주 GIST에 약 5개가 배정된다.
김 학장은 캠퍼스 연구단의 비중을 줄이고 전국 우수 대학들이 참여하는 외부 연구단 수를 늘릴 것을 주장했다.
윤민중 충남대 교수는 “정부 계획대로라면 기초과학 연구와 교육을 주도해 온 전국 20여개 주요 대학이 기초과학연구원에 참여할 수 있는 길이 거의 없다”며 “응용·공학이 중심인 과학기술특화대학만으로 25개 안팎의 기초과학 중심 연구단을 구성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정순영 서강대 교수는 융합기술특화대학인 GIST가 세계적 수준의 기초과학 연구단을 5개나 꾸릴 연구 인력을 확보할 수 있느냐고 의문을 제기했다.
이밖에 김수봉 서울대 교수는 국내외 우수 연구 인력의 활발한 참여를 독려할 수 있는 개방성, 세계 최고 수준의 기초과학 연구 수월성 등 기초과학연구원의 설립 철학을 강조했다.
윤대원기자 yun1972@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