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형간염 보균자, 말라리아 감염자의 혈액이 버젓이 유통되고 있어 문진검사나 혈액검사를 강화해야한다는 지적이 잇달아 제기됐다.
4일 대한적십자사가 최영희 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08년 이후 현재까지 총 14명의 A형간염 보균자가 헌혈해 24개의 혈액제제가 만들어졌으며 이 혈액을 수혈받은 환자 중 2명이 A형 간염에 감염됐다.
질병관리본부와 대한적십자사는 2008년부터 헌혈 후 A형간염 증상이 나타나 진단을 받고 혈액원에 알려온 경우에 한해 수혈로 인한 감염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A형 간염은 대부분 감기처럼 가벼운 증상을 보이고 회복되지만 20세 이상 성인에게는 급성간염이나 장기간 입원해야 하는 심각한 증상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특히 연령이 높거나 만성 간질환자의 경우 혼수상태에 빠질 수 있는 전격성 간염으로 진행될 수 있다고 최 의원은 설명했다.
최 의원은 "헌혈하는 당사자도 잠복기에 있으면 A형간염 감염 사실을 인지하지 못할 수도 있다"며 "그럼에도 불구 중증 질환자가 수혈을 받으면 최악의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문진 강화 등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라고 지적했다.
원희목 한나라당 의원은 말라리아 감염 위험 혈액이 다른 사람에게 수혈되거나 혈액제제로 사용되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대한적십자사가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09년부터 올해 8월까지 말라리아 감염 위험이 있는 헌혈부적격자의 헌혈건수는 2천64건이다.
`국내 말라리아 위험지역에 거주 또는 여행`에 해당하는 경우가 1천854건으로 가장 많았고 `국외 말라리아 위험지역 여행`(192건), `말라리아 병력이 있는 사람이 헌혈`(15건) 등이 뒤를 이었다.
2006년과 2010년에는 말라리아 감염자의 혈액이 다른 사람에게 수혈되기도 했지만 다행히 검사결과 음성으로 판명된 것으로 확인됐다.
원 의원은 "OECD 국가 중 한국은 말라리아 발생률 1위 국가지만 말라리아는 혈액검사 대상이 아니어서 헌혈부적격자를 제대로 걸러내지 못하고 있다"며 "말라리아에 대해서도 헌혈 혈액검사를 실시해야 하며 헌혈 보관검체에 대한 사후조사도 병행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경제 많이 본 뉴스
-
1
애플페이, 국내 교통카드 연동 '좌초'…수수료 협상이 관건
-
2
단독CS, 서울지점 결국 '해산'...한국서 발 뺀다
-
3
'코인 예치' 스테이킹 시장 뜬다…386조 '훌쩍'
-
4
[이슈플러스] '실손보험 개혁안' 두고 의료계 vs 보험업계 평행선
-
5
빗썸 KB행 신호탄…가상자산 거래소 실명계좌 '지각변동' 예고
-
6
[이슈플러스] 1·2세대 실손도 '위험'…법 개정해 기존 계약까지 뒤집는다
-
7
은행 사활건 기업·소호대출, 디지털뱅킹 전면 부상
-
8
새해 첫 자금조달 물꼬튼 카드업계…“금리인하기, 내실부터”
-
9
'금융사기 뿌리 뽑자' 은행권 보안 솔루션 고도화 움직임
-
10
생명보험업계, 30년 만에 '데이터 체계' 대개편...손보와 격돌 예고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