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TV 산업 생태계(에코시스템)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부 시범사업이 필요하다는 업계·학계의 목소리가 높다. 조기 시범사업을 통해 아직까지 세계적으로 정립되지 않은 스마트TV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고, 다양한 참여자들의 역할과 협력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스마트TV포럼(의장 윤부근 삼성전자 사장)은 25일 경기도 분당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에서 업계와 학계, 출연연 전문가 6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통합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참석자들은 시범사업이 스마트TV 생태계 활성화의 최우선 과제라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
박천성 다트미디어 대표는 “스마트TV는 TV 제조사만 잘해서 되는 것이 아니라 콘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 제작, 통신 등 다양한 기능의 결합이 중요하다”며 “우리나라가 스마트TV 세계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생태계 내에 들어와 있는 다양한 사업자들이 선순환 고리를 만들고 경험해 볼 수 있는 시범사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공공 민원서비스나 교육서비스 등 시범 사업을 거치면서 가전 대기업은 물론이고 소프트웨어, 주변기기, 앱 제작 노하우를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포럼 운영위원장인 정광수 광운대 교수도 “스마트TV 활성화를 위해서는 TV의 진화와 함께 서비스 모델을 찾는 것이 핵심”이라며 “업계가 함께 좋은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고 국내에서 검증을 거친 후 해외로 나가야 한다”고 시범사업 중요성을 강조했다.
스마트TV는 IPTV나 케이블TV처럼 사업주체가 명확하지 않은 면이 있다. 이 때문에 특정 사업자보다는 정부 차원에서 장터를 마련해주는 것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관련 주무 부처인 지식경제부는 스마트TV 시범사업에 대한 예산 지원에 다소 소극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LG같은 대기업이 있는 만큼, 이들 주도로 스마트TV 활성화가 가능하다는 판단에서다.
이에 대해, 한 대학교수는 “지경부는 아직도 스마트TV를 산업 생태계가 아닌 단품 디바이스로만 보고 있다”며 “스마트폰이 다양한 산업군을 만들어 낸 것처럼 스마트TV도 무한한 잠재력이 있는 만큼 보다 거시적 관점에서 진흥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포럼에서는 시범사업을 통한 비즈니스 모델 정립 이외에 △관련 소프트웨어 인력 확보 △서비스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조기 규격화 △과도한 트래픽에 대비한 망 투자 △스마트TV를 통해 유통되는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TV를 통한 전자상거래 허용 등 제도 정비 등이 스마트TV 산업화를 위한 과제로 언급됐다.
윤부근 포럼 의장은 “스마트TV에는 여러 사업자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어려움이 있다”며 “의견을 잘 조율하고 좋은 장터를 만들어, 다양한 비즈니스가 성장할 수 있는 형태로 관련 산업을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김승규기자 se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