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가 ‘글로벌 사이언스 파크’로 비상하고 있다.
올초 지식경제부가 광주·대구 R&D특구 추가지정안을 심의·의결하면서 광주 R&D특구는 지난 2005년 출범한 대덕 R&D특구와 ‘3각 체제’를 형성하게 됐다.
광주 R&D특구는 지역숙원사업이자 대통령 공약사업을 실천했다는 점 말고도 국가의 미래성장 동력을 견인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받고 있다.
◇경제유발효과 15조원 기대=광주 R&D특구는 오는 2025년까지 1조145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며 첨단·진곡산단, 신룡지구, 장성군 남면·진원면 일대 18.73㎢에 걸쳐 조성된다. 특구내에는 광기반 융복합, 친환경자동차 부품소재 등 미래를 이끌어갈 특화산업이 집중 육성된다. 광주 R&D특구는 광주과학기술원 등 대학과 연구기관, 지방자치단체 등 혁신주체와 지원시스템의 체계화·전문화를 통한 ‘지속발전형 혁신 클러스터’로 육성된다.
광주 R&D특구 사업이 완료될 경우 15조원 경제유발효과가 예상된다.
고용창출효과도 3만명에 이를 것으로 보여 우수한 지역 과학인재 일자리가 대폭 늘어날 전망이다. 특구내 입주하는 입주기업과 연구소에 대한 혜택도 풍성하다.
법인세 등 세제 혜택은 물론 연간 600억원 규모의 국비가 연구개발 예산으로 투입돼 국내외 연구기관과 기업의 특구 이전이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발맞춰 광주시는 R&D특구를 국제적으로 개방, 실리콘밸리와 같은 세계적인 ‘사이언스 파크’로 조성한다는 전략을 수립했다.
◇2015년까지 벤처생태계 조성=광주, 대덕, 대구 3곳의 특구는 각각의 특화산업을 집중 개발하고 이를 지역 산업계과 연계하는 방식으로 개발된다.
광주는 수도권과 충청권, 대경권에 뒤지지 않는 연구기관 및 대학을 보유하고 있다. 또 광주과학기술원·대학·광기반 R&D 기술지원센터 등 산·학·연 R&D 클러스터도 형성하고 있다.
광주R&D특구는 광주시가 추진중인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사업과 결합돼 ‘첨단과학문화클러스터’가 기대된다. 생산과 연구개발에서 마케팅에 이르기까지 문화기술과 접목을 통해 토털솔루션 제공이 가능해진다.
시는 1단계로 오는 2015년까지 연구개발분야 사업화, 벤처생태계 조성, 국내외 기업·연구소 유치, 특구 공동사업을 추진한다. 이 기간 인프라 구축을 위해 연구생산 집적센터, 녹색융합과학원, 정주여건 등이 조성된다. 지구별로는 첨단1지구에 연구기반 집적단지, 첨단3지구에 개방형 연구·산업화단지, 신룡지구에 미래성장 집적단지와 자동차·전자부품 확대단지가 들어선다.
◇성공 위해선 대덕, 대구와 차별화해야=광주 R&D특구 지정 자체만으로는 성공을 담보할 수 없다. 시행착오와 보안해야 할 과제들이 곳곳에 널려있다.
우선 맏형격인 대덕 특구와의 관계설정 및 대덕·대구 특구와의 차별화를 어떻게 이뤄내느냐가 문제다. 현재 지경부 산하 연구개발특구본부를 중심으로 시스템이 구축돼 있지만, 향후에는 독자 모델을 지향하는 방안도 검토해 볼 만 하다.
또 광산업·첨단산업·문화콘텐츠 등 광주만의 특화된 강점을 바탕으로 국가 경쟁력을 확보하는 방안도 모색돼야 한다.
정부 지원도 필수적이다. 특구만 지정해 놓고 관련 예산 지원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R&D특구는 ‘험난한 가시밭길’이 될 우려가 높다.
연구개발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국내외 우수기업과 전문성을 갖춘 연구소의 유치에도 앞장서야 한다. 지자체는 물론 정치계, 학계, 기업들이 머리를 맞대야 한다.
광주시 관계자는 “과감한 규제 철폐와 획기적인 인센티브 등 투자 여건 조성이 중요하다”며 “ 특구 내에서 개발된 신기술의 사업화가 곧바로 가능한 시스템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서인주기자 sij@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