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국의 인터넷정책이 급속히 변화하고 있는 가운데 모든 거래를 인터넷으로 하는 디지털문화가 확산되고, 인터넷이 생활 깊숙한 곳까지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런데 한가지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은 인터넷혁명으로 인한 디지털시대의 빈부격차와 소외문제가 심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디지털격차, 다시말해 디지털 디바이드가 사회적 갈등과 불평등을 야기시킴으로써 사회문제화, 나아가서는 국제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국가간의 정보격차뿐만 아니라 지역간·계층간 정보격차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고 한다.
문제는 국가간 정보격차를 논하기 이전에 국내 디지털 부익부 빈익빈 현상을 타파하는 데 관심을 쏟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모색과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음을 간과해선 안된다는 점이다. 국내 디지털격차를 줄이지 못한 상태에서 선진국과 정보격차를 줄이겠다고 아웅다웅한다는 것은 한낱 껍데기요, 무의미하다고 할 수 있다.
정부는 전자정부를 부르짖고 있고 또 노인들이나 주부 대상의 인터넷강좌 등을 통해 디지털 수준을 높이려고 온갖 방안을 강구하고 있음은 인정한다.
그러나 자세히 들여다 보면 빛좋은 개살구요, 속빈 강정임을 엿볼 수 있는 일면도 많이 볼 수 있어 안타깝다.
정보화자격시험장에서 빚어지고 있는 웃지 못할 사연도 많다. 컴퓨터가 제대로 작동이 안되는가 하면, 시스템 접속장애로 인한 재시험 실시 등은 너무 창피한 일이다.
초고속인터넷 서비스의 도심편중은 오래전에 나온 얘기지만 농촌은 답답하기만 하다. 서울 강남의 학생들은 하루평균 4시간 정도를 컴퓨터앞에서 지내고 있는 반면 지방 학생들은 고작 30분 정도라고 한다. 또한 노인·주부를 대상으로 한 무료인터넷교실이 열리고 있지만 전체 교육시간이 30시간 이하라 제대로 배울 수가 없다. 또한 IT산업 수도권 집중도 심각한 문제다.
지역간 또는 계층간·세대간 정보격차를 줄이기 위해선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이들 대상에 맞게 개발돼야 하고, 교육도 천편일률적으로 진행할 게 아니라 수준별 활용가치를 감안해 이뤄져야 할 것이다.
올해 말까지 전국 초·중·고등학교에 PC방 이상의 전송속도를 지닌 인터넷망이 무료로 설치되고, 정부가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내년에 수백억원을 투입한다고 하니 정보화의 상향 평준화에 일익하리라 생각된다.
덧붙여 이러한 정보화가 소모성이 아닌 개인적으로나 국가적으로 경제적 효용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내실화 다지기에도 힘써야 함을 잊지말아야 한다고 본다.
박동현 서울 관악구 봉천동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
1
[콘텐츠칼럼]게임 생태계의 겨우살이
-
2
[ET단상] 자동차산업의 SDV 전환과 경쟁력을 위한 지향점
-
3
[ESG칼럼] ESG경영, 변화를 멈출 수 없는 이유
-
4
[ET톡] '공공기관 2차 지방이전' 희망고문
-
5
[ET시론]정보화 우량 국가가 디지털 지체 국가, AI 장애 국가가 되고 있다
-
6
[人사이트]박세훈 근로복지공단 재활공학연구소장 “국산 고성능 의족, 국내외 보급 확대”
-
7
[김종면의 K브랜드 집중탐구] 〈29〉프로스펙스, 우리의 레이스는 끝나지 않았다
-
8
[디지털문서 인사이트] AX의 시대와 새로운 디지털문서&플랫폼 시대의 융합
-
9
[기고] '티핑포인트' 위기에 처한 대한민국 경제
-
10
[김태형의 혁신의기술] 〈21〉혁신의 기술 시대를 여는 서막(상)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