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업계, 차량항법시스템 공동개발 배경과 전망

자동차업계가 대표적인 중복투자 품목으로 지적받던 차량항법시스템(CNS:Car Navigation System)의 공동개발에 나섰다.

현대, 대우, 기아, 쌍용자동차 등 완성차업체들은 최근 인공위성을 통해 위치, 지리정보를 수신한 후 차량내부에 설치된 모니터를 통해 운전자에게 최적의 주행경로를 제시해주는 CNS 공동개발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독자개발을 고수, CNS 관련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기술을 각사별로 도입하는 등 중복투자를 일삼았던 자동차업계가 각사 자동차기술연구소를 중심으로 CNS 공동개발을 위한 전담팀을 구성한 것은 비용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국제통화기금(IMF)사태로 자금난이 심화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막대한 금액을 쏟아부어야 되는 CNS 독자개발에 상당한 부담을 느꼈기 때문이다.

현대, 대우, 기아, 쌍용, 삼성자동차 등 완성차업체와 현대전자, 쌍용정보통신, LG정밀, 만도기계, 대우정밀, 삼성전자 등 전자 및 자동차업체들이 CNS 독자개발에 나선 것은 국내 CNS 시장규모가 올해 4만~5만대로 확대되는 등 시장전망이 밝기 때문에 업체별로 50억원 안팎의 엄청난 개발비를 쏟아 부으면서 경쟁적으로 제품개발에 나선 것이다.

그러나 차량항법시스템은 제품의 특성상 적어도 1년에 한번씩 시스템의 업그레이드가 필요하고 이때마다 핵심기술을 쥐고 있는 일본, 미국업체에 막대한 자금을 지불해야 한다. 따라서 자동차업계의 CNS공동개발은 중복투자에 따른 외화낭비를 줄이고 아울러 전자, 자동차업계의 기술 및 부품 공용화를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업체별로 개발중인 CNS를 호환시킬 수 있는 기술이 자동차부품연구원을 중심으로 진행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앞으로 각제품간 호환은 물론, 일본, 미국에 의존하고 있는 핵심기술에 대한 자체 기술보유이 가능해지면서 후속모델 개발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업계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한편 이같은 낙관적인 전망속에서도 국내업체들의 CNS공동개발이 결실을 맺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적지않게 놓여 있는게 사실이다.

이번 결정을 내린 자동차업계는 물론 전자업계도 공동개발에 원론적으로 찬성하는 입장을 보이면서도 각론에 들어가게 되면 각사가 처한 입장과 제품 개발, 마케팅 전략에 따라 각기 상이한 입장을 보일거라는 우려가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전자업계의 한 관계자는 『자동차의 일반 부속품등과는 달리, 첨단장치인 CNS는 자동차의 심장인 엔진 못지않게 자동차 판매등 향후 사업의 핵심부문이어서 제품에 차별화를 두려는 업체들이 자발적으로 모든 기술을 내놓고 공동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설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CNS의 공동개발을 위해서는 지난 몇년동안 각사별로 쏟아부어온 엄청난 비용은 물론 제품을 모두 무시하고 새로 만들어야 하는 일에 업체들이 선뜻 나설까하는 의문이다.

그러나 차량항법시스템 공동개발문제가 이미 오래전부터 제기되어오면서도 그동안 서로간에 머뭇거리다가 국제통화기금(IMF)사태라는 외부요소에 강제적으로 떠밀리는 인상을 주긴했지만 업체들이 결단을 내린만큼 결실을 맺기위해서는 각사가 자사 이기주의를 버리고 적극 협력해야 할 것이라고 업계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온기홍 기자>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