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D-50] 국힘 “주4.5일제 도입·주52시간제 폐지 검토”…대선 공약 반영

국민의힘이 유연근무제를 활용한 '주4.5일제' 도입을 공식화하며 이를 대선 공약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동시에 주52시간 근무제 폐지도 함께 검토하는 등 노동시장 제도 개편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14일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법정근로시간 40시간을 유지하되 유연근무제를 통해 실질적으로 주 4.5일제 이점을 늘릴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방안을 검토해 대선 공약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권 위원장은 울산 중구청의 시범 운영 사례를 언급하며 “월~목요일 하루 8시간 기본 근무 외 1시간씩 더 일하고, 금요일에는 4시간만 근무한 뒤 퇴근하는 방식”이라고 소개했다. 이어 그는 “총 근무시간이 줄지 않아 급여에도 변동이 없다”며 “기존 5일 근무 체제를 유연하게 조정해 워라밸 개선 효과를 가져오는 현실적 대안”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공약은 정형화된 노동시간에서 벗어나 산업과 직무 특성에 맞춘 유연한 제도 설계를 통해, 근로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 산업 생산성도 제고하겠다는 방향으로 해석된다. 특히 '총 근로시간 유지'를 전제로 함으로써 임금구조 변화에 대한 우려를 줄이고 제도의 수용 가능성을 높이려는 접근으로 보인다.

Photo Image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이 14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은 권성동 원내대표.

권 위원장은 더불어민주당이 추진하는 주4일제 및 4.5일제에 대해서는 “근로시간 자체를 줄이되 받는 급여를 그대로 유지하려는 비효율적이고 포퓰리즘적인 정책”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근로시간을 줄이면 받는 급여도 줄어드는 게 상식이라는 비판에 민주당은 설득력 있는 설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고도 지적했다.

이와 함께 국민의힘은 산업별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주 52시간제 폐지도 함께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권 위원장은 “산업현장에선 일이 몰릴 때 집중적으로 일하고, 반대로 일이 적을 때 충분히 쉴 수 있는 유연한 근무 환경이 필요하다”며 “반도체 등 첨단산업을 비롯해 주52시간 규제로 생산성이 저하되고 있는 산업 분야를 면밀히 분석해 실질적인 제도 개선 방안도 함께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성현희 기자 sunghh@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