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상호관세, 무역적자 해소 전 협상·유예는 없다”

Photo Image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마이애미에서 워싱턴DC로 이동하는 대통령전용기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REUTERS/연합뉴스

미국이 협상을 통한 상호관세 '유예'는 없다고 못을 박았다. 상대국에 대한 미국의 무역적자가 해소되지 않는다면 협상도 없다고 강조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에서 워싱턴DC로 이동하는 비행기 내에서 취재진과 만나 '상호관세 발표 후 미국 주식 시장이 폭락했다'는 지적에 “때때로 무엇인가를 고치기 위해 약을 먹어야 한다”며 이 같이 밝혔다. 무역적자가 해소되지 않는 한 증시폭락 등의 일부 상호관세 부작용도 감내하겠다는 뜻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은 무역에서 1조9000억달러 손해를 (계속) 볼 수 없다. 그것은 지속 가능하지 않다”면서 “나는 중국, 유럽연합(EU), 다른 국가와의 무역적자를 해결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특히 중국과의 관세 협상에 대해선 “우리의 대(對)중국 무역 적자는 1조달러이며 우리는 이를 해결해야 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전까지 협상하지 않을 것”이라며 협상하려면 중국이 미국에 대한 무역흑자를 축소하는 게 우선이라고 압박했다.

EU에 대해서도 “유럽은 우리로부터 많은 돈을 벌었다. 하지만 그들은 (우리를) 매우 나쁘게 대우했다”며 “우리는 (계속) 그렇게 하면서 유럽을 보호하기 위해 많은 돈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에 쓸 수 없다. 우리는 군사적으로 그들을 보호하면서 무역에서 손해를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에 올린 글에도 “우리는 중국, 유럽연합(EU) 그리고 많은 국가에 (무역) 적자를 갖고 있다”면서 “이 문제를 치료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관세뿐”이라고 주장했다.

상호관세 정책 수립에서 핵심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진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도 미 CBS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상호관세 부과를 연기하거나 유예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상호관세는 10%의 기본관세에 나라별 추가관세가 추가되는데, 기본관세는 지난 5일 발효했고 9일에는 추가관세까지 모든 상호관세가 모든 나라에 적용된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에게는 모두가 흑자를 보고 우리는 적자를 보는 글로벌 무역(에 대한) 재편이 필요하다. 세계 각국은 우리를 갈취하고 있다. 이건 끝내야 한다”면서 “(상호)관세는 부과될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그렇게 발표했고, 농담이 아니었다”고 말했다.

협상을 위해선 우선 미국의 무역적자 해소 방안을 가져오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과 같은 맥락의 발언으로 풀이된다. 전 세계 각국은 상호관세 부과 시점을 연기하거나 유예하는 방안을 미국과 협상하려 하고 있는데, 이를 일축한 셈이다.

앞서 미국은 상호관세 발표 전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보편관세 부과를 일정 기간 연기한 바 있다.


안영국 기자 ang@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