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가 '인공지능(AI) 기반 스마트 물관리' 체계를 구축해 홍수·가뭄으로 인한 인재에 과학적·선제적으로 대응한다.
환경부는 10월 15일까지 이어지는 '자연재난대책기간'에 맞춰 태풍·집중호우로 인한 여름철 홍수피해 방지를 위해 '홍수상황 비상대응체계'를 15일부터 본격적 가동한다.
올여름 기상전망(기상청 4월 22일 발표 기준)에 따르면 대기 불안정과 평균 수온 상승에 따라 국지성 집중호우와 태풍의 발생빈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환경부는 선제적 상황관리·복구 지원체계를 확립한다.
자연재난대책기간 중 기상·수문 상황에 따라 홍수대책상황실을 운영하고, 홍수대응 관계기관 간 홍수정보를 실시간 공유하는 등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한다. 기상-홍수정보를 공유해 수문 방류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기상-물관리 기관 간 합동토의(기상청 주관)에 기상예보뿐만 아니라 댐 운영 정보 공유 절차를 추가하고, 기존 참여기관인 환경부, 기상청, 홍수통제소, 한국수자원공사 외에 한국수력원자력이 올해부터 참여한다.
특히, 환경부는 새 정부 국정과제인 '스마트 물 관리' 대책을 차질 없이 추진해 중장기 홍수대응 체계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기존에 대하천 위주로 사람이 하던 홍수예보를 2025년부터 AI를 활용해 전국 지류까지 빠르고 촘촘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인프라를 단계적으로 확충한다.
또 국가하천 73개(2832㎞), 지방하천 3768개(2만3302㎞)에 대해 홍수 발생 시 하천의 범람에 따른 침수범위와 침수깊이 등을 예측한 홍수위험지도를 지난해 3월부터 '홍수위험지도 정보시스템'에 공개하는 등 국민들의 홍수위험에 대한 정보 접근성을 확대했다.
총 67개 이르는 도심지 침수 가능 지역을 예측한 침수위험지도도 '홍수위험지도 정보시스템'에 공개하고 있으며, 환경부는 2025년까지 전국 250개 지구로 침수 가능 지역에 대한 예측 확대를 추진한다.
또 디지털 기술에 기반한 하천관리를 위해 내년까지 국가-지방하천 합류부 등 2730곳에 폐쇄회로텔레비젼(CCTV)를 설치해 실시간으로 홍수 등 하천 상황을 관리한다.
하천의 배수시설 2008곳을 하천·내수 수위에 따라 원격으로 자동 조작하는 체계를 올해 말까지 완성해 홍수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현재 1179곳에 원격제어시스템이 구축돼 운영 중이다.
손옥주 환경부 수자원정책관은 “홍수취약지구에 대한 홍수위험정보 전달체계를 확립해 지역협의체 등에 공유하겠다”면서, “지자체·관계기관과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해 여름철 자연재난에 대비하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준희기자 jh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