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유공자제도가 시행된 지 올해로 3회를 맞았다. 정부는 2017년 1차 지정 이후 매년 과학기술계에서 혁혁한 공을 세운 인물을 선정, 예우를 제공하고 있다.
과학기술유공자제의 취지는 명확하다. 우리 과학기술계, 산업계 경쟁력의 초석을 다진 인물을 기리고 현역 과학기술자들에게도 포부를 심어주기 위함이다.
해외와 달리 우리나라는 과학자의 업적과 생을 조명하는 노력이 부족했다. 이 때문에 과기계는 일찍이 과학기술유공자제 도입 필요성을 강조해왔다.
오랜 노력 끝에 2015년 12월 '과학기술유공자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제정됐다. 제정목적과 국가의 책무 및 지원계획 수립 등이 14개 조문에 담겼다. 이듬해 12월엔 법안의 시행령이 제정됐다. 과학기술인의 범위, 과학기술유공자 지정의 구체적 기준 등 규정이 명문화됐다. 엄격한 심사를 거쳐 유공자를 선정하고 주요 과학기술 행사에 초청하고, 출입국 심사를 우대할 수 있는 근거 등이 여기에 담겼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17년 4월 '제1차 과학기술유공자 예우 및 지원계획'을 발표하고 유공자지정 관련 중점 추진과제를 제시했다.
이후 유공자 선정 작업에 나서 첫 유공자 32명을 최종 선정했다. 전문심사위원회와 과학기술유공자심사위원회가 후보 298명을 심사해 내린 결정이다.
고 우장춘 농업과학연구소 초대 소장, 고 최형섭 한국과학기술연구소 초대 소장 등 우리나라 1세대 과학자로서 과학기술 경쟁력을 초석을 다진 인물이 선정됐다. 지난해엔 조 장기려 고산대학교복음병원 명예 원장, 고 한필순 한국원자력연구소 전 소장 등 16명 지정됐다.
과기정통부는 한국과학기술한림원 내 설치한 '과학기술유공자지원센터'를 통해 유공자 예우·지원을 계속 제공해 나갈 계획이다. 생존 유공자 중심으로 면담을 진행해 유공자의 수요에 맞춘 지원 사업을 지속 발굴한다는 방침이다.
지원센터는 후보자 발굴과 사후관리 역할도 수행한다. 센터는 유공자 신청을 상시 접수하고, 후보자발굴위원회를 구성·운영한다. 과학계가 공감하는 제도 운영을 위해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한국공학한림원, 한국연구재단 등이 참여하는 센터 운영위원회가 설치됐다.
최호기자 snoop@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