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맡길 곳이 없다…농림위성 탑재체 국산화 난관 봉착

차세대 농림위성에 탑재할 탑재체 국산화가 시작부터 난관에 봉착했다. 국내에는 아직 개발을 맡을 만한 역량을 가진 기업이 많지 않은데다 예산에 비해 고사양을 요구하는 것이 기업 참여 자체를 가로막고 있다는 지적이다.

산림청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농촌진흥청과 공동으로 추진하는 차세대중형위성 2단계 개발사업 일환으로 두 차례에 걸쳐 4호 농림위성에 탑재할 탑재체 개발 주관연구기관 선정을 위한 공모에 나섰으나 기업 참여 부족과 참여기업 역량 부족으로 선정하지 못하고 내년으로 사업을 이월했다고 16일 밝혔다.

공모는 지난 7월과 10월 두 차례에 걸쳐 진행했으나 두 차례 모두 A사가 단독 신청했다. 하지만 평가 결과 제안 내용이 실용위성에 맞지 않는 개념설계에 그친데다 탑재체 개발을 위한 광학장비 개발과 관련한 구체적인 계획이 미흡해 필요한 점수에 미달했다.

차세대중형위성 2단계 개발사업은 과기정통부가 위성 시스템과 본체 등 개발을 진행하고, 산림청과 농진청이 탑재체 개발을 맡는 형태로 진행한다. 올해부터 2022년까지 4년 동안 총 1137억7000만원을 투입한다.

탑재체 연구개발(R&D)은 국산화에 초점을 맞췄다. 계획대로라면 올해 개발 주관사를 선정하고, 70억원을 투입해 개발 작업을 시작했어야 했다.

산림청과 농진청은 이처럼 개발 기업 참여가 저조한 이유가 예산 규모가 너무 적은 반면 예산 활용에 제약이 많은 때문인 것으로 파악했다. 그럼에도 너무 높은 사양과 국산화 비율을 요구해 기업 입장에서 큰 부담을 느낀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이에 산림청과 농진청은 이달 중 차세대중형위성 추진위원회를 열고 향후 사업 추진방향과 대응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신재희 산림청 정보통계담당관은 “농림위성 탑재체 개발사업은 취지가 민간 주도 R&D와 국산화에 맞춰져 있지만 향후 활용성과 원만한 운영을 위해서는 기술 사양 기준을 낮추기도 어렵다”면서 “추진위원회에 몇 가지 대응방안을 건의하고 최종 결정에 따라 주관연구기관을 빨리 설정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양승민기자 sm104y@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