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와 카카오, NHN 등 국내 140여 기업이 몽고DB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을 사용한다.
몽고DB는 최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국내 첫 공식 콘퍼런스 '몽고DB 로컬 서울 2019' 행사를 개최했다. 이회사는 지난해 7월 한국지사를 설립했다. 앨런 차브라 몽고DB 아태지역 수석부사장은 “몽고DB는 데이터를 사용하고 저장하는 데 최적화된 DB”라고 설명했다.

몽고DB는 NoSQL DBMS다. 개발자 친화적 데이터 교환 시 BSON(Binary JSON) 문서형태로 저장, 여러 서버에 분산 저장과 확장이 용이하다. 방대한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한다. 윈도, 리눅스, 맥OS 등 다양한 운용체계(OS)를 지원한다.
몽고DB는 개발자가 온프레미스, 클라우드 등 어느 환경에서든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게 개발·구축하고 데이터 기반 인사이트를 도출하도록 돕는다. 몽고DB 지원 포털을 활용하는 라인과 '뱅크샐러드'를 서비스하는 핀테크기업 레이니스트도 몽고DB를 채택했다.
기업은 몽고DB '아틀라스'를 활용해 주요 클라우드 플랫폼에 DB를 배포하고 운영할 수 있다. 아틀라스는 아마존웹서비스(AWS) 서울리전, 마이크로소프트(MS) 서울·부산리전을 기반으로 서비스한다. 내년 초 문을 여는 구글 클라우드 서울리전에서도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몽고DB를 채택한 기업 다수는 오라클 DB를 병행 사용한다. 신 지사장은 “오라클 DB 정합성 영역을 몽고DB로 대체할 수 있다”며 “향후 국내시장에서 금융 등 미션 크리티컬한 영역을 몽고DB로 구축하느냐가 (시장 확대의) 관건”이라고 말했다.
박종진기자 trut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