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에 발 맞춰 우리나라가 전세계적 자율주행차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국토교통위원장으로서 최선을 다 할 것입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위원장인 박순자 자유한국당 의원(경기안산단원을)은 29일 정밀도로지도 민관 공동구축체계 토론회를 개최하며 이 같이 말했다.
정밀도로지도는 자율주행차가 스스로 위치를 파악하고 도로·교통 규제를 인지할 수 있도록 사전에 구축한 3차원 공간정보를 제공한다. 자율주행차 센서정보와 정밀도로지도를 결합하면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자율주행이 가능해 자율주행차량 운영에 있어 필수적이다.
국토교통부도 이러한 문제점을 인지하고 있다. 국토지리정보원과 한국도로공사, 나비스오토모티브시스템즈, 네이버랩스, 만도, 쌍용자동차, 쏘카, 아이나비시스템즈, 카카오, 카카오모빌리티, 현대엠엔소프트, 현대자동차, KT, LG U+, LG전자, SK텔레콤 등 17개 관련기업·기관과 함께 지난해부터 정밀도로지도 민관 공동구축체계의 필요성과 추진방안을 논의했다. 지난 4월 26일에는 정밀도로지도 공동 구축·갱신을 위한 협약도 체결했다.
박 위원장은 “정밀도로지도 공동구축체계 추진 중요성에 대한 범국가적 공감대 형성과 자율주행 산업 전반의 발전을 위한 초석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면서 “대한민국이 4차 산업혁명 시대 자율주행차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상임위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전자신문은 국회의원 의정활동에 대한 국민 알권리 증진을 위해 [의정 보고] 코너를 신설했습니다. 입법계획은 물론 상임위 활동과 주요 발언 등을 선별해 독자에게 전합니다.
안영국 정치 기자 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