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실을 바이오 창업 요람으로..2022년까지 500개 양성

Photo Image
29일 서울 성북구 KIST 본관에서 열린 바이오경제 2025 일자리 기업 간담회에서 이진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오른쪽 여섯번째)을 비롯해 연구기관, 기업 관계자가 기념 촬영했다.

문재인 정부 핵심의제인 일자리 창출에 따라 2022년까지 500개 바이오 스타트업을 양성한다. 병원, 학교, 연구소 실험실을 바이오 창업 요람으로 키워 일자리 창출에 기여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9일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바이오경제 2025 일자리 전략'을 발표했다.

일자리 전략은 작년 9월 범부처 바이오 육성전략 '바이오경제 혁신전략 2025' 후속조치다. 2022년까지 바이오 실험실 창업 기업 500개 창출이 핵심이다. 실험실 창업은 대학이나 출연연이 논문, 특허 형태로 보유한 신기술 기반 창업이다. 기술 집약형 창업으로 고용창출과 생존율이 일반 창업 대비 세 배나 높다.

일자리 전략은 △R&D와 일자리 연결 △인력양성 및 창업 인센티브 강화 △규제 개선 등 세 축으로 구성된다.

국가 바이오 R&D를 재설계해 원천 R&D를 창업, 일자리로 연결되는 지원체계를 만든다. 정부 과제로 개발된 결과물 중 약 60%가 시장에 나오지 못한다. 자금, 인력을 투입하고도 사장되는 한계를 해소하기 위해 개발 단계부터 상업화, 기술이전 전략을 마련한다. 연구자는 연구에 전념하도록 창업·사업화 영역은 정부가 지원한다. 아이템 발굴과 기업 설립, 성장 등 실험실 창업 성장사다리 생태계도 조성한다.

실험실 창업 지원 인력과 기관에는 인센티브를 준다. 창업을 전문으로 하는 바이오 클러스터 조성을 추진하며, 실험실 창업을 지원할 창업 이노베이터 양성도 착수한다. 혁신적 연구·창업 촉진을 위한 법령 개선을 추진한다.

서경춘 과기정통부 생명기술과장은 “바이오는 기술과 R&D가 핵심인 만큼 실험실에서 창업이 이뤄지는 게 가장 중요하고 효율적이다”면서 “국가에서 개발된 공공기술 60%가 잠자는 상황에서 데스밸리를 해소하고, 바이오 생태계 활력을 위해 창업 지원이 핵심”이라고 말했다.

문재인 정부 핵심 과제인 일자리 창출에 바이오산업에 거는 기대가 높다. 바이오 중소·벤처 평균 근로자는 29.5명으로, 전체 벤처 평균(23명)보다 높다. 최근 사상 최대치인 400개가 넘는 바이오 기업이 창업하면서 '제2 바이오 벤처붐'이 분다. 기술기반 산업임을 고려, 기술 개발 현장인 실험실을 창업 요람으로 육성한다.

Photo Image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9일 서울 성북구 KIST 본관에서 2022년까지 바이오 기업 500개를 육성하겠다는 전략을 발표했다. 이진규 과기정통부 제1차관(가운데)이 전략을 듣고 있다.

이진규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그동안 여러 차례 국가 주도로 바이오 기술을 개발했고 다양한 창업 지원 정책도 추진했지만 국민이 체감하기 어려웠다”면서 “기술개발을 일자리 창출과 연계하고 바이오헬스 기술을 국민이 체감하도록 정부가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계는 물리적 창업 수보다는 인력, 기술을 담보한 질적 성장 지원을 주문했다. 초기 기업 자금 지원, 맞춤형 창업 교육·컨설팅 프로그램, 각종 규제개선도 요구했다.

김국배 애니메디솔루션 대표는 “3D프린팅을 이용한 맞춤형 의료기기를 생산하고 있는데, 관련 시장은 우리나라를 포함해 세계가 비슷한 상황”이라면서 “우리나라가 선두에 나설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종 규제로 그러하지 못해 정부가 해결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성문희 바이오리더스 상임이사는 “회사 창업 후 가장 어려웠던 것은 외부 투자 유치, 코스닥 상장 등”이라면서 “재무 영역은 기술 개발자가 하기 어려운 만큼 최고경영자(CEO)와 최고재무책임자(CFO) 연계에 정부가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전자신문 CIOBIZ] 정용철 의료/바이오 전문기자 jungyc@etnews.com


브랜드 뉴스룸